쓸모 있는 음악책 - 내 삶을 최적화하는 상황별 음악 사용법
마르쿠스 헨리크 지음, 강희진 옮김 / 웨일북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쓸모있는 음악책

누구나 음악을 좋아했던 학창시절

CD플레이어와 워크맨세대인 나는 중고등학교시절 귀에 이어폰을 꼽고 살았지만, 다른 친구들보다 음악을 좋아했다고 할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왜냐하면, 진짜 음악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많았기 때문이다.(음악을 좋아했는지 그 가수를 좋아했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나는 음악도 좋아했지만, 멜로디와 악기의 음, 그리고 목소리의 어우러짐을 더 좋아했던 것 같다.

그래서 연예인이나 가수에게 관심이 멀어진 지금 시점이 되어도, 음악의 매력은 여전히 남아있다. 다만 그 것이 열정적인 애정에서 잔잔한 선호로 바뀐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은 국가가 허용한 유일한 마약

그렇다고 이책이 음학에 대한 책은 아니다. 오히려 내가 중고등학교때 관심이 많았던 음악에 대한 잡다한 지식과 에세이라고 보면 좋을 듯 하다.

즉 무거운 책은 아니기에 술술 읽힌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상상도 못 한 뇌의 원동력_진화와 음악의 상관관계

2. 타인의 마음을 움직이는 법_음악은 어떻게 감정을 불러일으키는가

3. 더 나은 내가 되고 싶다면, 들어라_나를 변화시키는 음악 혁명

4. 음악을 이용하는 자가 성공한다_음악이 답이 되는 순간

5. 반경 1M, 음악을 사수하라_언제 어디서든 음악을 들어야 하는 이유

제목은 과학적, 실용적인 내용이 많이 있을 듯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작가의 문체(?)덕분에 오히려 가볍게 일독할 수 있는 책이다.

그러나 아주 다방면이고 광범위하다. 음악이 우리의 생활에 상당히 많은 부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일 것이다.

덧붙임.

1. 가장 만족도가 높은 직업이, 오케스트라 지휘자이고 연주자들이 상위에 랭크가 되어 있는 것은 음악적 카타르시스가 우리의 자아실현과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라이브를 들으러 가고, 값비싼 뮤지컬에 지갑을 여는 것이 아닌가 싶다.

2. 음악이 대중화가 되려면 생음악을 들을수 있는 문화가 좀 더 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진동을 느낄수 있는 오디오도 좀 더 대중적인 가격에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나도 가지고 싶다구)

본문의 내용을 일부 인용하면,

음악의 템포와 심박수 사이의 비율을 잘 이용하면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된다.

운동, 청소 등 몸을 많이 움직이는 일을 해야 할 때는 해당 행위를 할 때의 심박수보다 살짝 더 빠른 템포의 음악을 듣는 게 좋다. 이를 테면 조깅을 할 때에는 130~140bpm정도가 적당하다.

쉬고 싶을 때, 눈을 감고 양손을 가슴에 무은 채 명상에 빠지고 싶을 때에는 60~80bpm 정도가 좋다. 모두들 바쁘게 사는 건 알지만 이 명상 훈련을 일주일에 한 번은 하길 권한다. 중장기적으로 볼 때 그게 돈을 아끼는 방법이다. 스트레스와 피로를 푼답시고 거금을 치르고 몰디브 바닷가에 가야 하는 사태는 벌어지지 않을 테니까!

2박자나 4박자 계열에 100~130bpm정도의 노래가 잠에서 깰 때 듣기에 딱 좋다고 말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팝송중에 절반 이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린버그는 스트리밍 업체에게 의뢰받아 20곡으로 된 '모닝알람송'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