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 디퍼런트 - 사람과 숫자 모두를 얻는, 이 시대의 다른 리더
사이먼 사이넥 지음, 윤혜리 옮김 / 세계사 / 202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리더 디퍼런트

바람직한 리더에 대한 책, 어떤리더가 되어야 하는지 어떤리더가 되면 안되는지 직접적으로 명료하게 꼭 짚어주는 책이다.

그래서 (무늬만 리더인) 리더들이 읽는다면, 따끔할만한 내용이 많고,

(무늬만 리더인) 리더들과 함께 일하고 있는 팀원들이 읽는다면 속이 아주 시원한 책이 될 것 같다.

리더는 최고경영자 뿐 아니라, 본부, 팀, 파트에서도 조직을 이끌어야 하는 사람은 모두가 리더이다. 리더가 올바르면 팀이 올바를 수 있고, 리더가 효율적이면 팀도 효율적일수 있다. 리더가 사리사욕을 채우면 팀원들도 사리사욕을 채우게 되고, 리더가 무능하면, 팀도 무능해진다. 리더의 전파력은 상당하다. 그것을 잘 알고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좋을 리더가 되는 것이다.

직원을 새로 뽑는 다는 것은 아기를 입양하는 것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 우리는 안전한 직장을 원한다

2장 우리를 도와줄 강력한 힘

3장 우리가 직면한 현실

4장 우리는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을까

5장 ‘추상적’이라는 적

6장 파괴적 풍요

7장 중독된 사람들로 넘쳐나는 사회

8장 리더가 된다는 것

책이 일단 재미있고 구체적이다. 영미권의 작가지만 우리나라의 일터와도 흡사하다. 식사자리등에서 한번씩 뒷담화에 오르내릴만한 문제를 설득력있고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래 이런부분이 고쳐진다면 회사가 다닐만 할텐데!!!"

밀레니얼 세대를 이해하고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룬다.

우리나라의 MZ세대 뿐 아니라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도 우리나라의 MZ세대와 흡사하다. 아마도 사회문화적 변화속에서 비슷한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부분이 꽤나 도움이된다.

덧붙임.

1. 리더에게 바라는 것, 책임, 안정성, 인정

나는 그것을 팀원들에게 주고 있는가? 팀원들의 열정을 이끌어내고 있는가? 나는 팀원들을 위해 희생하고 있는가? 고민거리를 던져주는 책이다.

2. 투자에서 경영진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은 투자경험이 오래되어야 알게 된다. 우리일터도 마찬가지이다. 최고리더의 역량과 생각이 직원들과 회사의 경쟁력과 얼마나 직결되는지 경험해 봐야 안다.

본문의 내용을 일부 인용하면

모든 우수한 기업에는 공통점이 있다. 위대한 성공을 거둔 기업, 경쟁자를 압도하는 기업, 안밖에서 존경받는 기업, 직원들의 충선도가 높고 이직율이 낮은 기업, 웬만한 위가에는 끄떡하지도 않는 기업에서 하나같이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리더가 최상단에서 직원들을 든든하게 지켜주고, 밑에서는 직원들이 서로 지켜준다는 것이다. 이들 기업이 위험을 무릅쓰고 스스로 한계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 이유도 바로 이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공감이 있어야만 가능하다.

새로운 직원을 뽑는 일은 아이를 입양해 집으로 데려오는 것과 같다. 새로 들어온 가족 구성원에게는 그 집에 살고 있던 가족들과 마찬가지로 집안과 다른 가족 구성원을 돌볼 책임이 생긴다. 회사에 새로 들어오는 직원들에게도 기존 직원들과 마찬가지로 조직발전에 힘쓰고 동료를 돌볼 책임이 생기다. 리더가 인간적 가치관에 기반해 채용기준을 명확히 세우면 직원들의 소속감은 현저히 커지며, 서로 단결해 조직을 위해 헌신하고자 하는 의지도 강해진다.

약한 리더는 오로지 임원을 비롯한 선택된 소수에게만 안전망의 혜택을 준다. 그들은 자기들기리만 똘똘 뭉쳐 '핵심층'을 형성해 그 안에서 서로 보호할 뿐 다른 직원들은 신경쓰지 않는다. 그 소수 권력집단에 속하지 못한 직원들은 상부로부터 보호받지 못한 채 자신을 지키고 이익을 챙기고자 어쩔 수 없이 단독으로 행동하거나 작은 그룹을 구성해 함께 일한다. 그러면 사일로 현상이 나타나고 사내 정치가 고착화되며, 직원들은 실수를 은폐하고 정보를 교류하지 않는다. 조직 구성원들이 협력하는 편안하고 안전한 분위기는 온데간데없고 불안감만 남는다.

"독재적인 리더는 오로지 자신의 부와 권력을 지키기 위해 존재한다.""권력은 독재자를 서서히 세상에서 고립시킨다".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거리가 멀어지면 개념이 추상화되고 머지 않아 피해망상이 시작된다. 독재자는 세상을 적대적으로 바라본다. 그럴수록 사람들을 점점 심하게 차단하고 핵심층 주변을 더 엄격하게 통제한다. 독재자가 고립될수록 조직은 점점 더 고통받는다.

리더가 자기 자신이나 회사를 실제보다 나아 보이도록 꾸며 말하거나 굴욕이나 책임을 피하고자 거짓말한다면 그들을 향한 신뢰감이 흔들린다.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우리 뇌는 모든 정보를 생존과 연관지어 해석한다. 리더가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고자 진실을 왜곡한다는 의심이 들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그와 참호에 들어가기 싫어한다.

밀레니얼 세대가 어떤 환경에서 자랐는지 이해된다. 상사들 눈에는 그들이 왜 그렇게 인정받으려 드는 것처럼 보이는지도 짐작된다. 또 그들이 직장에서 비판받는 일을 잘 견디지 못하는 이유도 알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이 특별한 존재라고 여기며 자랐고, 조금이라도 힘들거나 좌절한 만한 일이 있을 때면 발 벗고 나서주는 부모의 지지를 받으며 부모가 시키는 대로 따랐고, 주기적으로 칭찬과 보상을 받는 일에 익숙하다. 그런데 직장에서는 이 모든 것이 주어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