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 더 힘들어하고 더 많이 포기하고 더 안 하려고 하는
김현수 지음 / 해냄 / 2019년 4월
평점 :
이 책의 저자는 김현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다. 30여년 간 청소년 문제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한다. 그간의 경험이 이 책에 담겨있는데, 3분의 2정도를 왜 요즘 아이들이 힘든지, 뭐가 가장 힘들고 문제인지 설명하는데 할애하고 있다.
그 중 가슴 아팠던 이야기가 많았는데, 몇 가지를 소개하면
“아버지, 봐요. 아버지가 더 이상하잖아요. 죽기 살기로 매 순간을 사는 아버지가 더 이상하다고요. 시대가 바뀌었잖아요. 요즘은 누구나 안하는 것을 더 원하는 시대라고요. 부모님이 바라는 좋은 대학을 온 것으로 저는 족하다고요. 저는 아직 아무 생각이 없다고요. 좀 내버려 두세요. 지금 군대 안 가는 방법을 열심히 연구하는 것 말고 다른 관심이 없단 말이에요.”
P.49
열심히 공부해 좋은 대학교를 갔는데 학교 다니는 거 외에 노는 걸 걱정하는 아버지에게 하는 말이다. 심리 검사까지 받지만 아버지의 불안심리가 높은 것으로 나온다. 어른은 시대가 어려우니 열심히 해야 한다지만 이 사회 현실은 열심히 하는 것으로 성공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 시대가 달라졌다.
아이들은 이 감정들에 뿌리를 둔 여섯 가지 대처 양식인 ‘순응’ ‘무기력’ ‘자해’ ‘은둔’ ‘비행’으로 자신의 상처를 스스로 보듬고 있습니다.
P.79
이별과 분리를 건강하게 서로 배워야하는데, 서로를 향한 독립이 어려워서 얽킨 실타래 같은 관계로 부모와 지지조 볶고 하면서 인생이 저물어가는 것이 한국인, 한국 부모들의 삶이고 아이들의 삶입니다.
P.109
몸을 사용할 기회가 거의 업었고, 뇌를 사용하여 외우고, 문제 풀고 손을 사용하여 답을 찍거나, 답을 쓰는 일만 거의 전적으로 하다가 성년이 된 셈입니다.
P.161
아이들은 어렸을 때 부터 많은 걸 포기해야 한다. 요즘은 수학을 포기하고 중학교 때는 학교를 포기하고, 고등학교 때는 인생을 포기한다는 말이 나온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를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돌리거나 요즘 아이들은 그래, 라고 말할 수 없다. 좋은 학교를 간다고 잘 살 수 있다고 말할 수 없는 현실에서 성인도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안하는데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할 수 있을까?
이제 그렇다면 아이들에게 우리가 줄 수 있는 건 무엇일까?
책에서 나오는 여러 이야기 중에 부모부터 생기넘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우리의 삶에서 희망을 만들어야 아이들에게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역사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마음에 와 닿았다.
그리고 멀어지는 대화법 리스트를 보면, 마음에 찔리기도 했다. 나도 이렇게 말한 건 아닌지 되돌아보게 됐다.
했냐, 안 했냐?
부모니까 말해준다.
네 얘기는 들을 필요가 없다...
무엇보다 아이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 내 소유물이 아니고 인정하고 같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살면서 아이에게 화가 나거나 힘들 때마다 읽으면서 마음을 다시 다져야겠다. 지금 이순간에도 힘든 아이들의 세상이 조금이나마 나아지길 바란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