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나저나 이 아름다운 책의 띠지는 어디로 갔나. 알라딘 너무한다. --;;

김연수 작가의 글솜씨는 찬양해봐야 뭐하나 다 아는걸. 후후.

이번 책은 더 좋다. 우후.

막 숨이 가빠진다. 우후.

막 흥분이 된다. 우휴.

이런 남자, 이런 감성, 이런 작가, 이런 소설, 이런 이야기...

달콤하거나 약간 차가운 정도의 미풍이 불어오는 것만 같다.

이런 글을 써주는 한국 작가가 있다니 고마울 뿐이다.

이상하겠지만 커피프린스 1호점의 므흣한(?) 감동을 이 소설에서도 받는다.

감성이란 것은 어떤 방식의 것을 접하든 결과가 비슷하다.

개인의 삶이 무시받던 시절. 젊은 주인공의 풋사랑, 90년대 운동권학생들의 객기, 그리고 그들의 어설프면서 귀엽지만 결국은 폭력적인 파시즘. 그게 정말 정답인 줄만 알던 그들의 아집. 이 모든 것들에 대해 작가는 한 사람의 내밀한 사생활을 통해 그 폭력의 실체를 말하려고 하는 듯하다.

감성으로 아집과 파시즘을 이기는 것은 쉽지 않지만, 타고난 예술가가 소프트파워를 이용해 사람들을 이슬비에 젖듯 용해시키면서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은 정말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설득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소설은 정말 좋은 예술작품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 소설을 읽는 순간, 

당신이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세상은 어쨌든 당신을 초대할 것이다. 

 

글이 섹시하다면 좀 천박한 표현일까.

난 이렇게 감성적인 남자들이 좋더라.

ㅡㅠㅡ

므흣해.므흣해..므흣한 책!

가령 이런 문구들.

 

'그 순간 정민이 왜 그 이야기를 떠올렸고, 또 내게 들려주려고 마음먹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그 이야기는 씨앗처럼 내 마음 한구석에 뿌려졌다. 그 씨앗이 과연 어떻게 싹을 틔울지 당시의 나로서는 전혀 짐작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야기를 다 들은 후 나의 결론은 그에게도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모든 게 달라졌으리라는 것이었다.

사랑은 입술이고 라디오고 거대한 책이므로. 사랑을 통해 세상의 모든 것들이 내게 말을 건네므로. 그리고 이 세상 모든 것들이 그 입술을 빌려 하는 말은, 바로 지금 여기가 내가 살아가야 할 세계라는 것이므로.

그리하여 우리는 이 세계의 모든 것들과 아름답게, 이토록 아름답게 연결되므로.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으니 사랑에는 아무런 목적이 없다는 것을. 오직 존재하는 것은 서로 닿는 입술의, 그 손길의, 살갛의, 그 몸의 움직임뿐이라는 것을 그도 알았더라면. '

아아아.......

미치겠다. 김연수 너무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2007-10-02 0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연수 작가야 말할 것도 없이 읽고, 또 읽으면서 사색해야 할 대상입니다.

dada 2007-11-23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수오빠 너무 좋아요. ㅋㅋ ^^
진짜 막 읽을 때 온몸이 저릿해지는 느낌. 간만이었답니다. 사색도 좋지만 전 몸이 먼저 반응하네요. 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