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는 힘이 세다 - 김시습의 금오신화 1218 보물창고 23
강숙인 지음, 김시습 원작 / 보물창고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기업 광고도 단순하게 하지 않고 연예 기획사에서 그룹을 선보일 때도 스토리텔링을 만듭니다.

사람들은 이야기를 통하여 이해하고 상상하는 일을 좋아하기 때문이죠.

살기 힘들어질수록 변화를 각성하게 하는 영화나, 현실을 잊게 하는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작가의 일도 많아지고 중요해지죠. 요즘은 누구나 작가로 나서서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 보이기도 하고요.

과거의 인기 작가는 누구였을까 궁금했습니다. 이 분이 떠오르더군요.

조선 최초의 한문 소설이라 일컬어지는 금오신화의 저자 김시습.

'금오'는 경주 남산의 봉우리 금오봉을 말하는데, 김시습은 금오신화를 이 산에서 스님으로 머무를 때 썼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영특했던 김시습은 만 3세에 시를 지을 정도로 글쓰기 능력이 좋았다고 하네요.

김시습의 이름을 학창 시절에 많이 들어보고 금오신화도 읽었지만, 시험을 위한 공부를 했던 것 같아요.

이번에 그의 세계를 찬찬히 들여다보았습니다.

보물창고 출판사에서 나온 '이야기는 힘이 세다'라는 책은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또 하나의 스토리를 입힌 독특한 책입니다.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쓴 이유는 어린 조카의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부당함과 단종의 억울함을 담기 위해서였습니다.

작품마다 비범한 인물이 등장하고, 마지막은 인간성에 대한 강한 긍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는 책은 금오신화를 집필하던 김시습의 상황과 마음을 상상하며 또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었습니다.

김시습이 제자인 선행에게 가르침을 주는 과정으로 스토리에 스토리를 덧칠했어요.

이야기 속의 또 다른 이야기. 이것을 예전에 액자식 구성이라고 배운 기억이 떠오르네요. 상당히 흥미롭고 몰입감이 높은 구조입니다.

금오신화에는 5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어요.

양생이 만복사에서 저포 놀이한 이야기인 만복사저포기

이생이 담 너머를 엿본 이야기 이생규장전

홍생이 부벽정에서 취해 놀았던 이야기 취유부벽정기

박생이 염라대왕과 독대한 이야기 남염부주지

한생이 용궁 잔치에 초대받은 이야기 용궁부연록이 있습니다.

모두 신비롭고 기이한 내용입니다. 이 시대의 장르로 말하면 판타지나 환상문학과 비슷합니다.

김시습은 책을 재밌으라고만 쓴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통하여 현실의 부조리함을 꼬집었고 미래를 통찰하였습니다.

집필을 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상처받은 마음에 위안을 얻었을 것이고, 읽는 독자들도 희망을 얻었을 것입니다.

김시습을 만나니 정신이 번쩍 드네요. 제가 쓰는 글에 신중해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면 저의 이야기에도 '이야기의 힘'을 담을 수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그냥 금오신화만 읽으면 김시습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웠을 것이나, 이 책을 통하여 읽으니 김시습과 소통하는 기분이 들어서 좋았습니다.

*출판사에서 책을 지원받아 읽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