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코드 - 디즈니와 넷플릭스 디지털 혁신의 비밀
강정우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다를 바라보며 독서중입니다.

오늘은 ‘DX코드’라는 책을 읽었는데요. 여기에 디즈니와 넷플렉스 혁신의 비밀이 담겨 있어요!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사업이 더욱 중요해졌는데요. 특히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들은 오히려 주가가 올랐죠.

디즈니와 넷플렉스는 닮은듯 다른 구석이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은 넷플렉스이지만 디즈니는 워낙 좋은 콘텐츠를 가지고 있으니 앞으로의 전망이 밝죠.


넷플렉스도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힘을 쓰고 있는데요. 아직은 10대 인기 프로그램 중 2개 정도만 오리지널 콘텐츠입니다.

넷플렉스의 장점은 선호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이 잘 되어있는 것이죠. 내가 어떤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나서 이후 그것과 비슷한 장르나 소재가 알고리즘으로 자동으로 추천되는데요.

심지어 썸네일(내용을 대표하는 요약 사진)도 고객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반영된다고 해요. (저는 SF물을 많이 추천 받네요.)


넷플렉스는 데이터의 소우주라고 불릴 정도로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구독자가 매일 2시간씩 꼬박 시청해도 따라가지 못할 분량의 오리지널 콘텐츠도 제작해서 송출하는 중입니다.

디즈니는 스토리텔링 능력이 우수합니다. 그리고 온오프라인을 연결해서 사업의 다각화를 이룰 수 있죠. 디즈니랜드에서 ‘매직밴드’를 활용한 사례가 매우 인상적입니다.

아이들이 매직밴드를 차고 입장하면 직원들이 내 아이의 이름을 알아보고 생일을 축하해줍니다. 길게 줄을 설 필요없이 미리 대기를 걸 수도 있습니다. 결재도 편리하죠.

이 시스템은 동네의 오래된 구멍 가게에 가서 주인 할머니가 친근하게 맞아주는 것 같은 인상을 줍니다. 직원과 고객 사이가 거래 모드에서 관계 모드가 된 것이죠.


하지만 디즈니는 어린이용 콘텐츠만 강세라는 인식이 있어서 앞으로 이 이미지를 어떻게 할 것인지 궁금하네요.


디즈니의 ‘이야기 들려주는 기계’는 약간 소름이 돋았어요. 웹상에서 좋아요를 많이 받은 이야기를 분석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이 놀랍네요.

플렛폼 경쟁의 시대.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디즈니와 넷플렉스는 또 어떤 변화를 보여줄까요?

이 책을 읽으면서 미래를 미리 예측하고 준비해보시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