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 『죽음의 수용소에서』빅터 프랭클과의 대화
이시형.박상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결혼 후 아이들을 낳고 육아에 몰두하면서 스스로에게 수없이 했던 질문입니다.

열심히 공부했던 것, 사회생활 경력, 인간관계...... 다 잃어버리고 손해만 보는 느낌이었어요. 힘들고 지쳐서 내 삶의 목적이나 의미가 전혀 느껴지지 않더라고요.

그런데 이 질문과 똑같은 책 제목을 만났어요. 어찌 펼쳐보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ㅎ

이 책은 한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자 뇌과학자 이시형, 심리 상담가 박상미. 이 두 분의 깊이 있는 대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이었던 빅터 프랭클 박사는 수용소에 갇혀 지내는 동안 고통 속에서도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후 그가 쓴 책 ‘죽음의 수용소에서’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용기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의미 치료’를 탄생시킵니다.

의미치료는 인간이 삶의 존재의 의미를 찾음으로써 고통을 이겨내고 상처를 치유하는 것입니다.

책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는 아직 국내에는 생소한 의미치료의 의미를 전하고 다양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 과정이 독자의 마음도 스스로 치료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의미치료법의 방식은 상담자가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고민하고 선택할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우울증의 의미가 무엇인지, 내가 살아가는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할 기회를 줍니다.

상담 치료를 하면 과거의 아픔을 건드리게 되는데, 이 과정이 오히려 마음을 더 힘들게 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데 아주 먼 과거의 일까지 건드려서 힘든 현재에 고통이 더해졌어요. 좋지 않은 상황에 처한 것이 모두 내 탓인 것 같아서 힘들더라고요.

하지만 의미치료는 현재의 고통 속에서 의미를 찾고 미래에 목적을 두니까, 상담 분위기도 긍정적이고 희망이 생깁니다. 저는 이런 치료법이 마음에 들더라고요.


책 내용 중에 인상 깊었던 것은 ‘보리 한 톨의 이야기’였습니다. 보리 한 톨을 심으면 겨우 보리 몇 알이 열리는데, 흙을 파고 들여다보면 뿌리는 어마어마한 길이로 뻗어 있다고 해요. 서울과 부산을 14회나 왕복할 만큼 길게!

보리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어요. 주어진 여건 속에서 자신의 존재와 생명 유지를 위해서 최선을 다합니다.

그런데 보리는 혼자 큰 것이 아닙니다. 해가 돕고 물이 돕고 공기가 돕고 여러 미생물이 돕고... 전 우주가 참여해서 함께 성장 시켰어요.

우리들의 생도 전 우주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가족만이 우리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한마을이, 국가가, 우주가 돕고 있지요.

이 감동을 깨닫고 나의 생명을 소중히 하고 감사하며 살아야죠.

내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찾아보면 정말 많았습니다.
내 생으로 해낼 수 있는 일도 정말 많았습니다.

고통 속에서도 위대한 인간은 아주 많아요. 보리 한 알이 제 생의 무게를 견디며 애쓰는 동안, 인간은 제 생을 견디면서 타인의 생에도 친절을 베풀고 돕기도 합니다.


니체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그 어떤 상황도 견뎌낼 수 있다.’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들 것이다.’

이 책은 고통을 겪어 보아야 희망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고통 속에서도 의미를 찾는 일!
이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아셨죠?

모두의 마음이 많이 힘든 시기입니다.
이 책을 읽고 지혜를 구하신 다음에,
서로에게 따뜻한 의미를 전해 주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