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세상을 훔치다 - 우리시대 프로메테우스 18인의 행복한 책 이야기
반칠환 지음, 홍승진 사진 / 평단(평단문화사)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책, 세상을 훔치다" 이 책의 제목이 내 마음에 와닿는다.
책이 세상을 훔친다니, 정말 멋지지 않은가?
도대체 이 표현을 누가 생각해냈을까?

저마다의 분야에서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으며
맹활약을 하고 있는 18인의 인사들이
자신의 삶에 있어 책이 주는 의미와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을 통해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 길을 찾고
책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눈을 뜨고
책을 통해 무엇을 관조해야 할지 알게 되는

그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필수비타민격인 책을 통해
저자가 묻고 그들이 답하는 식의 인터뷰 형식을 빌어
책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잔잔한 그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

내가 평소 좋아하고 존경해마지 않는 분들도 눈에 띈다.
영미학자인 장영희 교수가 첫페이지를 장식하셨고
희생과 봉사의 삶으로 타인에게 행복을 주는 한비야씨.
요시모토 바나나 및 에쿠니의 소설을 읽으며 궁금했던 번역가 김난주씨.
그외 평소 좋아하는 배우인 유인촌씨, 개그맨 김미화씨.
그리고 대학생들이 닮고 싶어하는 전문 앵커 백지연씨 등.

내가 닮고 싶어하는 그들의 생각과 삶의 이상적인 모습들을
짧게나마 이 책을 통해 바라보며 많은 생각을 갖게 되더라.

예전 MBC 프로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를 통해
평소 우리나라 국민들이 책을 얼마나 멀리하고 있으며
책과 친근해질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조차 제대로 조성되지 못한
현 주소를 보여주어 많은 이들을 안타깝고 놀랍게 했던 적이 있다.

물론 우리나라도 본인의 의지와 노력만 있다면
얼마든지 책을 가까이 할 수 있지만
어렸을 때부터 부모들로부터 반강제적으로
조기교육이나 여타 다른 교육의 중요성을 내세우며
처음부터 책을 멀리하도록 하는 현 상황도 문제다.

선진국이라 칭하는 많은 유럽의 국가들은 어떤가?
우리와는 확연히 다른 교육 및 환경 요건을 보여준다.
그들의 삶에 있어 책은 매일 먹고 마시는 음식과 별반 다를개 없다.
그 만큼 친근하고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건대 예전의 나는 책과 친하지 않았다.
사춘기 시절 읽던 하이틴 소설 혹은 만화책 정도랄까?
책과 가까이 하게 된 시기는 불과 얼마 되지 않았다.

가볍고 관심있는 분야이 책부터 읽으며 책에 재미를 들인 후
보다 광범위한 분야의 책들도 편식하지 말고 읽다보면
알게 모르게 책을 통해 참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을거라 믿는다.

욕심부리지 말고 차근차근히 친근하게 다가갈 것!
내가 생각하기에 책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 별반 다를게 없다.
올 가을 책과 사랑에 빠져 보는건 어떨까?
후훗:)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