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라시네 - 르 클레지오, 영화를 꿈꾸다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이수원 옮김 / 글빛(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의 꿈 속을 거닌다. 하늘에서 떨어진다. 구름에서 구름으로 반짝임들 사이로.』




평소 영화를 좋아한다. 영화에 대한 조예가 깊은 것은 아니지만, 이왕이면 영화를 보고 난 후 그에 대한 느낌이나 감상이나 소소한 평을 내 나름대로 기록해왔다. 단순히 보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영화 속 인물, 이야기 더 나아가 영화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에 대해 심도 있는 이야기를 해본 기억도 거의 없지만 궁금했다. 영화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라는 사실만으로도. 더구나 내가 태어나기도 전인 그 시대, 그 시절의 영화 이야기도 접할 수 있으리라는 호기심?! 여하튼, 계기는 만들려면 끝도 없는 법이다. 무엇보다 이 책의 저자는 2008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르 클레지오’란다. 솔직히 말하면 내겐 낯선 존재로 아직까지 그의 책을 읽어본 적이 없다. 다만 이 책을 통해 그를 만났다.




그런데 왜 책의 제목이‘ 발라시네’일까? 무슨 뜻이지? 하고 들여다보니‘발라시네(Ballaciner)’는 ballader(산책하다, 노래하다)와 cinéma(영화)를 합친 신조어라고 한다. 

영화를 어떠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산책하듯이 관조하듯이 이야기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떤 것이든, 바라보는 사람에 따라 평은 달라지기 마련이고 거기에 대한 옳고 그름은 사실 아무 의미가 없듯이 이 책에 담긴 영화이야기들 또한 그러하리라. 저자는 자신이 어린 시절 접했던 무성영화에 대한 기억 그리고 세계 변화 속에서 느낀 영화에 대한 단상을 경험과 함께 이야기하고 있다. 그가 바라보는 관점 내지는 시각도 곳곳에서 느낄 수 있는 말 그대로 영화에 대한 자유로운 형식을 빌어 쓴 에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편의 소설을 이야기하고자 한다면 그 안에는 수많은 소재들이 있을 수 있다. 남녀 간의 사랑, 애정, 친구와의 우정, 예술, 문화, 지나칠 수 없는 격정적인 혼란의 현 시대상 등 이 모든 것이 영화 안에서 하나의 주제로 그려질 수 있는 것이다. 그가 자라오면서 보고 듣고 느낀 영화의 한 면들이 지금 시대와는 사뭇 달라 생소하게 느껴진다 할지라도 아, 이렇게 세월이 변하듯 영화도 우리와 함께 해 왔구나- 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면 그 가치만으로도 충분히 공감을 던져 줄 수 있을 것이다. 책 속에 언급된 영화들 대부분이 낯설고 생소했음에도 한국 영화에 대한 이야기도 언급한 것을 보면 조금은 친근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내심 반가운 마음을 가릴 수는 없었다. 딱딱하고 지루하게 영화를 이야기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애정으로 끌어안고 있다는 점이 참 따뜻하게 여겨지더라.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박찬욱, 이창동, 이정향 감독과 인터뷰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그가 한국영화에 대해 느끼고 생각해왔던 점들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그의 시각이 새삼 친근하게 느껴지기도 했고. 어느 한가지의 자기 고집과 기준에 맞춰 세상을 살아가는 게 아닌 다양한 눈높이를 가지고 자유롭게 생각하고 살아가는 그의 방식이 참 부럽기도 하고 좋은 의미로 다가온다. 영화는 우리의 삶이자, 살아온 날들에 대한 기억이자 회고의 길이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영화를 사랑하고 찾고 그 속에서 다른 것들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나역시 그러한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