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범의 파워 클래식 1 -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고 아무도 시도하지 못했던 신 클래식 강의
조윤범 지음 / 살림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음악은 우리의 삶에 있어서‘메마른 사막의 단비’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들은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정보에 늘 촉각을 곤두세우고 대응해야 하고 다른 이들보다 뒤처지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하는 어떻게 보면 앞으로만 내달려야 할 위치에 서 있다. 이런 상황과 늘 맞닿아 있는 현대인들은 실로 정신적인 고갈 상태에 빠져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고, 뭔가 활력을 줄 수 있는 무언가를 필요로 하게 된다. 길거리를 지나가다가도 학생이고 직장인이고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귀에 이어폰을 꽂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역시 내가 좋아하는 장르의 음악을 들으며 나름대로의 여유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간 우리들이 쉽게 접할 수 있었던 음악은 대중들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대중음악, 소위 가요가 대다수였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베토벤 바이러스’라는 드라마에 힘입어 클래식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고 쉽게 다가설 수 없었던 새로운 장르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조윤범, 그의 경력을 잠깐만이라도 살펴보면 더욱 놀라게 된다. 바이올리니스트, 칼럼니스트 더불어, 대중들에게 클래식에 대한 색다른 접근과 해석을 하는 사람이라고 하니 더욱 그렇다. 대중음악도 우리들에게 알려지기까지 긴 역사와 흐름이 있듯, 클래식이라는 장르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 바로크시대에서부터 근․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최고의 음악가들에 대한 생애와 그들이 남긴 작품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 말 뜻 그대로 클래식이 그간 우리에게 다가온 현실이 그러했다. 더구나 그는 클래식 음악가이면서 연주자이기도 한 콰르텟티스트의 리더이기에 조금 더 가깝게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도록 안내자 역할을 자청한 것일 게다.    




그 동안 가사와 멜로디에만 유념하여 음악을 들었지, 실제 그 곡의 탄생 배경과 작곡가에 대한 궁금증을 가져본 이는 별로 없을 것이다.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베토벤, 바흐, 하이든, 멘델스존 등 많은 음악가들의 가려진 일례들을 설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히 음악을 듣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숨겨진 면면들을 알고 나면 더 많은 감흥과 친근함을 느낄 수 있기에 그러했으리라. 시대적으로 우리와 동 떨어져 있는 그들이지만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은 한 인간으로써의 모습들을 그의 이야기를 통해 접할 수 있고 더불어, 조금 더 그들이 남긴 음악에 대한 애정과 관심들이 생겨나게 될 것이다.  




그저 난해하고 거리감 있는 장르로만 여겨졌던 클래식, 지금 생각해보니 수험생 시절에도 피아노 연주곡이나 클래식을 즐겨 들었던 것 같다. 물론, 전문가가 아닌 이상 그 곡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다 할진 못할지라도 우리의 눈과 귀, 마음까지도 차분히 가라앉혀주는 그만의 매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평범함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보석이 있듯, 천재 음악가 내지는 시대를 거슬러 많은 이들에게 생생히 기억될 그들의 음악은 분명 높이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tv드라마를 통해 연주자들만이 가진 (자신이 소화해내야 할 곡에 대한 이해와 다른 협연자들과의 조화 등) 그들만의 애환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얼마 전 가수 서태지 역시 지휘자로 유명한 '톨가 카쉬프'와 함께 그의 곡을 서정적이며 웅장한 느낌으로 전곡 편곡하여 로얄 필하모닉과 협연 무대를 가진 적도 있었다. 이 역시 클래식이 대중들에게 조금 더 다가설 수 있었던 새로운 출발점이었을 것이다. 혼자 일어설 수 있는 나무가 없듯이 클래식 역시 대중들의 큰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 이 책에 소개된 곡들을 하나씩 찾아 들으며, 이 추운 초겨울 문턱에서 내면의 따스함을 찾아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