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음악 없는 삶’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있다면 어떠한 모습으로 대비되는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삶에 조금이라도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의 가치관을 사회의 환경에 맞추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과정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이어지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격한 감정의 동요(불안, 초조, 두려움, 분노 등)를 일으키기도 하고 그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들을 초래하기도 한다. 가장 기본적으로 표면화되어 보여 지는 것은 다름 아닌 우리들의 신체일 것이다.




실제적으로 사람의 신체에 일어나는 반응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이 되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특히‘뇌와 음악’의 연계를 통해 우리가 그 동안 미처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들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새롭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올리버 색스’에 대해서는 하등 들은 바도 없고 그의 이전 저서들을 접해본 적도 없었지만 신경과 전문의로 이미 10여권의 책을 저술한 분이라는 사실 그리고 이를 통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분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솔직히 음악을 즐겨듣는 한사람으로써‘뇌와 음악’의 상관관계가 우리의 삶과 모두에게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그가 직접 만난 환자들의 실제 경험담에 근거를 했다는 점, 이로써 실로 우리가 몰랐던 사실이 수반되어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독자들의 눈과 귀를 이끌기에 충분하지 않겠는가. 더구나 사람의‘뇌’와 관련된 신경체계는 셀 수없이 복잡하고 섬세한 회로와 같을 터, 여기에 음악이 결부되어 우리가 미처 상상치 못하는 다양한 반응들을 보여준다니 더 없이 신비스럽고 놀라운 일인 것이다. 나 역시 음악을 통해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느끼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심리적인 치유를 경험하기도 했다. 이처럼 음악은 우리의 신체 일부인‘귀’를 통해‘소리’로 모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되고 그 이후의 영향력은 실로 크다.




사회 전반에 혁신의 물결이 일어나고 한 나라와 전 세계가 번영하고 발전되어 갈수록 인간들에게는 이유를 알 수 없는 병명들이 부지불식간에 생겨나고 있었다. 더구나 뇌질환들은 또 얼마나 많은가. 뇌종양, 뇌졸중, 뇌경색, 치매 .. 하나의 신경만 잘못되어도 반신불수가 되고 의사소통조차 어렵게 되는 최악의 병들. 그 만큼 뇌의 기능과 역할이 중요하다는 반증일 터이다. 뇌의 손상과 그로써 파괴되어버린 뇌의 영역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과 뒷받침되는 설명들은 의학박사인 저자의 말을 통해 어렵지 않게 오히려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고 그 만큼 설득력 있게 들린다.  




음악을 통해 잃어버렸던 지난날의 기억을 되찾게 된다거나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병명과 이유를 알 수 없는 심각한 손상에 따른 신체적인 변화에 그저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하는데 여기에 음악이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구원자의 손길이 되어준다면 더없이 좋을 것 같다. 보통의 이들에게 음악이 내일을 살아갈 힘과 희망을 안겨준다면, 많은 신경질환 환자들에게는 더 없이 큰 치료제의 역할과 함과 동시에 실낱같은 희망의 끈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주 작은 반응과 변화만이라도 있다면 말이다. 아직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이들을 위한 끊임없는 임상적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들의 노력과 땀이 무색하지 않게 음악이 더 많은 이들을 위한 긍정적인 변화에 한 몫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