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드 1 - 엘파바와 글린다 위키드 6
그레고리 머과이어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 읽었던 이야기 한 편쯤은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그것은 어린아이들의 순수한 눈망울처럼 깊고 푸르렀던 희망의 세계를 그린 이야기일 수도 있고 선한 등장인물이 등장하여 악한 이를 상대로 환상적인 모험의 나래를 선사하는 이야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전 동화에 대한 관심은 이후, 뮤지컬 또는 영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새롭게 각색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이끌기에 충분했고 무엇보다 원작 소설과 다른 흥미진진함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책은‘오즈의 마법사’라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서쪽마녀의 사악함, 그 배경을 소재로 삼아 이야기를 그려나간다.




이 책은 그저 가볍게 읽고 마는 단순한 판타지 동화는 아니다. 등장인물들이 처한 환경과 그 안에서 느끼는 관계의 고립은 일상을 살아가는 나와 우리 이웃 누군가의 모습일 수 있으며 그 어디에도 오롯이 서있을 수 없는 주인공 엘파바의 모습에 안타가운 연민마저 든다. 남들과 조금 다른 얼굴색(초록색)을 가지고 태어나 가장 힘이 되어야 할 가족에게도 차별적인 냉대를 받으며 심리적으로 가장 차가운 고뇌를 경험하게 된다. 불륜을 일삼는 엄마와 유일교 신앙에만 매진하는 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엘파바 그리고 양팔이 없이 태어난 동생 네사로즈까지. 이 생애 존재하는 것 또한 온전한 나의 선택일 수 없듯이 엘파바의 양 어깨에 부여된 장애라는 이름의 삶의 짐 또한 컸으리라 생각된다. 




남들과 다르다고 해서 무차별적으로 누군가에게 공격과 핍박을 받을 이유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 모두가 인격적으로 존중받아야 함이 당연한 일인 것을, 그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이의 발걸음과 모습에서 마음이 이내 무거워지고 만다. 자신이 마음이 원하고 바라는 일마다 마치 누군가가 조정이라도 하는 듯 무참히 두 손 놓아야 하는 현실의 삶이라니, 이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에서도 많은 부분 일맥상통하기에 그저 웃어넘길 수는 없는 것이다. 하물며 동물들도 자신을 사랑해주는 주인은 알아본다고 하는데, 이성을 가진 한 인간의 무자비하게 짓밟힌 하나의 존엄함이 이처럼 처량하지 않을 수 있을까.




엘파바는 스스로를 보호하고 지키기 위해서 자기만의 틀을 세우고 타인들의 따가운 시선을 경계하며 살아야했기에 더 강해질 수밖에 없는 위치에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항상 외로운 자신과 대면해야했기에 그 어디에서도 동화되지 못하는 마녀가 되어야 했던 것이다. 겉모습은 마녀로 보이지만 실은 그녀가 살아온 삶의 모습들을 되뇌어보면 부조리하고 악한 마녀의 모습만이 아닌 그녀 자신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갈등과 타협점을 찾으려는 모습도 보인다. 선과 악의 실체는 사실, 어느 하나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 듯하다. 내가 아무리 세상에 앞에서 선하게 살아가려해도 나의 마음과 다르게 이 세상은 저 반대편으로 물 건너갔을지도 모를 일이니까.




강했지만 사실은 그 누구보다도 마음 여린 엘파바의 모습에서 또 다른 나의 모습과 닮아 있음을 느꼈다. 그래서 더 마음이 아파왔는지도 모르겠다. 비록 안타까운 결말을 드러낼지라도 소수의 편에 서서 그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세상의 부조리에 대해 반기를 들려고 했던 엘파바의 모습에서 판타지의 새로운 한 영웅의 모습을 보게 된다. 진실로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서는 우리 중 그 누구도 비판할 권리가 없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또 다른 형식의 위키드를 만나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