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거짓말
기무라 유이치 지음, 임희선 옮김 / 지상사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행복한 거짓말’이라는 제목이 단번에 나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그것은 아마도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단어의 조합 때문이 아닐까. 행복하다와 거짓말! 행복함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가장 충만한 감정이며 기쁨일진대, 어떻게 진실을 거부한 부정의 말을 수식하게 된 것인지 처음에는 아이러니했지만 이 이야기를 다 읽은 후에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기무라 유이치’라는 일본 작가와의 만남 또한 처음이었기에 내심 걸었던 기대 또한 너무 컸었나보다. 그렇다. 읽고 난 후의 결론을 말하자면 프림 빠진 커피를 마신 기분이랄까.




스토리는 사실상 단순하다. 등장인물들의 상관관계가 복잡한 것도 아니요, 작가가 드러내보이고자 한 모습들도 우리의 일상과 별반 다르지 않다. 한 항구도시에 자리한 술집 도그우드를 배경으로 그 곳을 드나드는 평범한 소시민들의 모습과 한 때 유망한 드라마 작가였던 나오키와 라면집 딸인 고토미의 연애 이야기가 주축이 되고 있다. 다만 이를 작가는 섬세하고 차분한 시선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여느 일본 작가들의 무엇과 닮아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타인들에게 자기 자신이 더 주목받고 인정받기를 원하면서도 막상 그런 순간을 맞으면 어디로 숨어야 할지 그에 대한 압박감 내지는 부담감을 갖고 있는 듯하다. 나오키 또한 어느 순간 자신에게로 향한 천재작가라는 관심과 칭송에 아무 근거지도 밝히지 않은 채 어디론가 달아나버렸으니까. 그리고 그 곳에서 나오키라는 이름이 아닌 바텐더 히사노리로 새 삶을 충실히 살아나가게 된다. 원래 내게 부여된 삶의 모습인 것처럼.




더 이상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것만 같았을 때 떠나왔지만 어느 순간 머릿속에는 새 희망이 꿈틀댄다. 그래, 그래서 다시 글을 쓰기 시작한 나오키. 그의 글은 많은 이들의 감성을 터치하는 드라마로 방영되어 인기를 끌게 되지만 자신의 과거를 모르는 그녀에게 쉽게 진실을 털어놓기란 쉽지 않고 그 기회의 순간이 지나자 이들에게는 어김없이 갈등의 씨앗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실제 드라마에서 그러한 것처럼, 단순한 복선과 이야기 구조를 보이는 연애 소설이라고 해야 할까.




대놓고 들여다보면 사실 특별할 것 없는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사랑 이야기에 손을 저을 수 없는 것은 우리 또한 그러한 사랑을 하고 살아가는 한 인간이기 때문일 것이다. 좋아하는 사람과 일상의 모든 것을 공유하며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그저 행복하기만 하고 매일의 일상이 솜사탕처럼 영원히 달콤할 것만 같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사랑을 휘청이게 할 만큼의 오해와 갈등도 생기기 마련이니까. 상대에게 가장 진실할 수 있을 때에야 비로소 빛나는 보석이 사랑이 될 것이다.




나의 사랑 이야기가 드라마에서 실제로 방영된다면? 그 기분은 어떠할까. 마치 내가 드라마의 주인공이라도 된 것처럼 행복할까. 이들의 사랑은 특별함보다는 너무나 소박하여 오히려 따스하게 감싸안아주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다. 너무 안타까울 만큼 처량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헛된 사랑의 줄다리기라고 단정 지을 만큼 허황된 사랑이 아니기에. 그저 아무 말 없이도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두 손 꼭 잡아줄 수 있는 사랑이기에. 약간 심심한 맛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연애 소설의 지향점을 고스란히 담아낸 너무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소설이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