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까지‘요시다 슈이치’의 책은‘일요일들’과‘퍼레이드’ 이 두 권을 읽은 게 전부다. 이 작가에 대해 딱히 뭐라 평할 만큼 잘 알고 있는 것도 없고 쉽게 판단할 수도 없지만 이전 작들과는 분명히 다른 주제와 이야기를 보여준다는 점이 새로웠다. 어느 날 도로에서 한 여자가 갑작스런 죽음을 당하고 그 살인을 행한 범인이 과연 누구인가? 에 초점을 맞춰 작가는 색다른 추리소설의 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유모를 한 여자의 죽음은 그녀 주변의 많은 인물들에게로 시선을 돌리게 하고 그 과정 안에서 주변 인물들의 심리를 엿보게 한다. 보통 어떤 상황에 한 사람이 코너에 몰리게 되면 그 주변인들은 하나같이 그와의 한계선을 긋거나 하물며 못 본 체 하기도 한다. 이것이 진짜 사람 마음이 아닐까. 작가는 이 믿고 싶지 않은 사실을 책의 제목인 악인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이렇듯 인간의 내재된 심리를 너무나도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작가의 능력에 놀라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 누구나 벗어나길 원한다. 조금 더 편하고 자유로운 삶에의 동경을 느끼는 것이다. 이는 어쩌면 당연한 바이지만 그것을 소유하며 살아갈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에 한정되어질 뿐이다. 그 소수의 범위에 포함되지 못하는 이들은 격한 감정에의 나락에 빠지게 되기도 하고 순간의 유혹에 넘지 못할 선을 넘고 만다. 유이치와 미쓰요는 만남 사이트를 통해 알게 되었지만 서로에게 일상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소통의 의지 처와 다름없었다. 그리고 이들의 만남 또한 예상할 수 없었듯이 이들의 헤어짐도 그러했다. 




한 순간 한 여자를 죽이고 범죄자가 되어버린 유이치와 헛된 목적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려던 미쓰요 그리고 그 주변 인물들의 자화상은 현실세계를 꼬집어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한 사건에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있고 우리는 가해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쉽게 거두지 못한다. 그저 결과만을 놓고 한 인간에 대한 편파적인 분노의 감정을 느끼고 사회의 악으로 갈라놓는다. 물론 가해자를 동정하라는 말은 아니다. 다만 그런 사회의 악으로 점쳐질 때까지 우리는 과연 선하게만 살아왔고 그런 이들을 보듬어 안았느냐 되묻게 될 뿐이다.




어처구니없이 일어난 한 여자의 죽음과 그 사건 이후 주변 인물들의 모습의 변화됨에 작가는 주목하고 있다. 한 사람만 악인이라고 쉽게 단정할 수 없게 만드는 게 바로 여기에 있다. 모두의 마음에는 선과 악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범인을 서두에 두고 그들의 심리와 내면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지만 전혀 지루함은 찾아볼 수 없다. 그 이상의 흥미진진함이나 긴박감을 기대해서는 안 되지만 분명한 건 우리 개개인에게 쉽지 않은 물음을 던져주고 있다는 것이고 우리는 그 답을 책을 읽는 내내 찾아야만 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외롭다. 외롭기에 모두와 함께 더불어 사는 존재인 것이다. 살인을 저지른 자도 살해당한 자의 마음 안에도 이로 인한 부재와 타인에게 내보일 수 없었던 상처가 자리하고 있었을 것이다. 작가 요시다 슈이치는 인간의 본성에 근거하여 우리들 마음 깊숙이 자리한 악의 실체를 탐구하려 한다. 이야기에 집중하게 만드는 흡입력은 강하지만 결코 가볍게만 읽히는 소설은 아니었다. 독자의 입장에서 이런 작가의 필력은 참으로 놀랍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