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눈으로 보고 내 귀로 듣고 이렇듯 직접적으로 경험하지 않는 이상, 타인의 삶을 전적으로 이해한 냥 공감하며 고개를 끄덕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라고 해도 그저 그들의 삶은 그 시대의 전유물로만 생각되어질 뿐이다. 이것이 당연한 논리라고 내 스스로 피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번만은 쉽지 않았다. 아프가니스탄이라는 나라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그들의 정치적 상황, 내전, 암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폭력과 살해..뉴스를 통해 간간히 보고 들은 게 전부였을 뿐이다.




인간으로써 누려야 할 최소한의 인권적 권리조차 누릴 수 없고 오히려 여자라는 이유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핍박당하고 제대로 된 행위권도 구사할 수 없는 그들의 상황에 그저 말문이 막히고 마음이 아파올 뿐이었다. 그 누구도 자신의 삶이 그러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을 터, 그저 묵묵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그 나라 그 현실의 삶. 한치 앞도 내다볼 수없는 상황 속에서 누구에게도 털어놓지 못하고 발버둥 친다한들 벗어날 수 없는 절망의 시간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인지 그저 놀라울 뿐이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두 여인의 굴곡 많은 삶만을 마주하는 것이 아닌 아프가니스탄에서 실로 일어났던 분쟁과 이로 인해 피폐해진 삶의 터전 그리고 그 곳에 남겨진 이들의 가슴 아픈 현대사까지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무것도 모르고 가진 것 없는 어린이와 노인 그리고 여성들과 같은 사회적 약자계층인 이들이 겪어야 했을 아무 준비도 없이 받아들여야만 했던 삶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솔직히 뉴스나 타 언론 매체를 통해 접한다 한들 내 발등에 떨어진 내 일이 아닌 이상 우리는 그들의 외침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




라시드라는 한 남자를 사이에 두고 함께 하게 된 마리암과 라일라, 이 두 여인이 드라마틱한 삶, 어느 순간은 여자로써 아니 인간으로써 무자비한 치욕을 견디며 이를 감내해야했고 이루 말할 수 없는 폭력 앞에 무릎꿇어야했지만 이들은 이토록 무자비한 삶속에서 서로에게 의지하며 하나의 유대를 맺어 좀 더 강인하게 이겨나간다. 과연 그러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지배적으로 들긴 하지만 그 누구에게 의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나 또한 그러하리라. 그녀들 누구도 자신에게 그러한 운명이 오리라고는 생각지 못했으리라.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는 것만큼 고통스러운 것은 없다. 매일 아침 눈을 뜨면 보게 되는 현실이 그들에게는 얼마나 위험천만하고 무서운 일이었을까. 작가는 그들의 삶을 집중 조명하면서 이 글을 읽는 이들 모두의 마음에 하나의 과제를 전하려하는 듯하다. 아무것도 없는 불모지의 땅, 아프가니스탄에서 지금 현재 우리가 웃고 떠드는 이 시간에도 어느 누구는 이유 없는 희생과 아픔을 강요당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려는 게 아닐까. 




우리 모두는 스스로의 의지로 꿈을 안고 자신만의 삶을 개척할 자유와 인권이 보장되어 있다. 이것은 단순한 바람이 아니라 이 생애 태어나는 순간 당연히 보장받아야 할 하나의 권리이다. 그렇지만 이 단순한 진리조차 어느 한 세계에서는 매일 밤 눈감을 때마다 기도하는 하나의 바람일 수도 있다는 것. 이러한 사실이 그저 마음 아플 뿐이다. 절망의 늪에 빠져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었을 때에도 그녀들은 포기하지 않았고 그랬기에 하나의 희망의 싹을 틔울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 어쩌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그러한 내면의 힘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을 통해 나는 타인의 슬픔이 그저 남의 일만은 될 수 없었던 시간을 보내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