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를 만나다
빈센트 반 고흐 그림, 메릴린 챈들러 맥엔타이어 시, 문지혁 옮김, 노경실 글 / 가치창조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위대한 예술가를 만난다는 것은 나에게 무척이나 새롭고 설레는 일이다. 더구나 세계적으로 강한 인상을 남긴 작품과 그의 삶까지도 단지 책을 통한 간접 만남이기는 하나 그 만큼 더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 재조명하게 되는 의미 또한 크기 때문이리라. 네덜란드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 그에 대해 알고 있는 바는 그저“별이 빛나는 밤”라는 작품을 통해서였다. 그가 어떠한 삶을 살다가 생을 마감했고 생존해 있는 동안 얼마나 많은 작품으로 그의 명성을 떨쳤는지의 여부에 대한 지식은 협소하기만 했다.




작가는 그가 남긴 작품들을 통해 독자들이 한걸음 더 가깝게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바를 의미 있게 알아가는 시간을 마련하고 있다. 미술에 대한 보다 자세한 기법이나 방향을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조금 더 눈을 크게 뜨고 그와 만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와 함께 실었다. 비록 많은 것을 알지는 못하지만 예술가들의 생애에 있어서 그들은 자신들만의 사유의 한계선이 있는 듯하다. 타인에게 쉽게 내보일 수 없는 자기만의 영역, 이를 통해 자신의 독창성이 더 돋보이고 작품을 통해 승화되는 것은 아닐까. 




그의 마음을 가장 잘 꿰뚫어볼 수 있는 것이 바로 그의 작품을 통해서일 것이다. 그를 현생에 만나볼 순 없지만 그가 남긴 수많은 작품을 통해 우리는 그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각자의 임의대로 해석해 볼 수 있고 그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그의 전 작품을 만나볼 순 없어도 이 책 속에 실린 22점의 그림을 통해 한층 더 가깝게 그와 만나고 글을 통해 묘한 마음의 동요를 느끼게 될 것이다.




전반적으로 그의 그림을 바라보자면 주제에 따른 화려한 색채감이 돋보인다. 그가 그리려고 한 대상물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에 맞는 붓 터치와 표현기법 그리고 색채감이 특징적으로 나타나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책 속에 실린 작품들 중 개인적으로 눈에 들어온 것은 다름 아닌“회색 펠트 모자를 쓴 자화상”과“연인이 있는 관목 풍경”이었다. 특별한 이유를 들라하면, 쉽게 대답할 수 없다. 같은 예술가의 작품을 보더라도 보는 이의 입장이나 시각에 따라 다른 느낌이 들게 마련이니까.




그래서 예술에 대한 정의는 쉽게 할 수 없는 것인가 보다. 각자의 주관이 있고 나름의 방식대로 표출하고자 하는 바가 있기에 배 놔라, 감 놔라 할 수 없는 것. 그래서 작품을 감상하는 제 3자의 입장은 더 없이 편할지도 모르겠다. 반 고흐, 그를 이 책을 통해 만나면서 전적으로 이해하고 만족할 수는 없지만 한층 더 가깝게 그의 작품을 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것은 분명하다.     




* 기억의 한 구절 *

“지나간 삶의 기억들, 이별한 사람들이나 죽어버린 사람들. 영원히 지속될 것 같던 시끌벅적한 사건들… 이 모든 것이 망원경을 통해 희미하게 바라보는 것처럼 기억 속으로 되돌아올 때가 있습니다. … 나는 지금처럼 앞으로도 고독하게 살아갈 것 같습니다. 내가 진정 사랑했던 사람들도 망원경을 통해 희미하게 바라보는 수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