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앉아 금琴을 타고 샘터 우리문화 톺아보기 2
이지양 지음 / 샘터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학창시절 매주 한 두 시간씩 찾아오는 음악시간은 가장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시간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공부에 얽매이는 이들에게 잠깐의 휴식을 선사하는 시간, 그래서일까. 바쁘고 메마른 일상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음악은 하나의 활력소로 작용한다. 어떤 이들은 어딘가를 오고갈 때에도 귀에 이어폰을 꽂은 채 저마다 좋아하는 음악을 감상하고 하물며 나조차도 컴퓨터를 할 때마다 귀로는 내가 좋아하는 장르의 음악을 선별하여 틀어놓는다. 


우리가 흔히 듣는 대중가요, 팝송, 클래식을 제외하고 정작 우리나라의 음악에 대해 관심을 가져본 적이 있었던가 하니, 머릿속이 까만 백지상태처럼 되어버린다. 참 부끄럽기 짝이 없는 일 아닌가. 이 책은 우리의 고전 음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이들에게 좀 더 쉽고 가볍게 우리만의 음악을 접할 수 있도록 독자들의 마음을 살포시 이끌어준다. 이전에 단순히 음악을 듣고 마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이제부터는 좀 더 객관적으로 내가 듣는 음악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 배경에 초점을 맞추어 깊이 있는 배움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사전 지식이 전혀 없어서인지 저자가 설명하는 바를 내 것으로 소화하기는 쉽지 않지만 음악에 대한 하나의 교양서이니 부담 갖지 말고 누군가 고전 음악의 탄생에 대해 이야기해준다고 생각하며 읽어보면 좋을 듯하다. 우리 조상들의 삶과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고전 음악들의 탄생과정과 그 시대 선비들은 어떤 음악을 들었는지 이해하게 되는 과정 자체가 참 흥미롭다.


타인의 음악을 대부분 표절하고 컨셉을 모방하고 자기 것인 양 어떠한 거리낌도 없이 대중들에게 선보이는 일부 가수들의 음악성에 비하면, 우리 선조들이 그들만의 풍류와 내면을 녹여낸 우리만의 음악이 가장 아름다운 것임을 새삼 느끼게 된다. 언제가도 정겹고 따스한 우리들의 고향처럼 음악도 흔들리는 누군가의 마음을 붙들어줄 수 있는 의지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내 자신이 가장 힘들고 지칠 때 찾게 되는 것 또한 음악이니, 음악은 우리의 삶의 동반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들의 고전음악은 입으로만 불리어지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마음에서 누군가의 마음에까지 전해지는 듯하다. 눈과 귀만으로 우리를 즐겁게 하는 대중가요와 달리 입으로 흥얼거리는 음악을 통해 누군가를 떠올리고 그리워하며 온전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는 데에 특별함이 있다. 그런 이유에서라도 우리의 고전음악을 사랑하고 또 많은 이들에게 접할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우리의 고전음악과 예술가들의 면모를 저자의 입담을 통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어려워하지 말고 지루하고 난해하다는 편견을 버리고 오늘, 이 시간 정갈한 우리 음악에 흠뻑 취해보는 건 어떨까. 가장 한국인다운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는 진리를 또 한 번 가슴 깊이 새기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