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인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4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에는‘오르한 파묵’이라는 저자에 대해 내가 알고 있었던 바는 전혀 없었습니다. 작품성과 대중성, 세계성을 동시에 획득한 2006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라니! 그에 대한 타이틀은 생각보다 크고 높았습니다. 책을 읽는 가운데 느끼는 즐거움 중 하나는 바로 이런 것이겠지요. 내가 접하지 못했던 저자의 책을 통해 새로운 문화와 배경을 알아가고 그 안에서 또 다른 주인공들을 만나는 것입니다. 그들과 함께한 여행길, 떠나볼까요?


『어느 날 한권의 책을 읽었다. 그리고 나의 인생은 송두리째 바뀌었다』책의 서두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우리의 길고도 짧은 여정, 바로 이 삶의 길을 걷다보면 갖가지 고초를 경험하면서 또 다른 나를 단련하게도 되고 이를 지혜롭게 이겨낸 후 희열의 기쁨도 맛보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 그 자체가 자아의 발견을 위한 여행길의 의미를 가진 것입니다. 나의 의지대로 살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내 자신 뿐만 아니라 타인으로 인한 선택의 갈림길에도 놓일 수 있고 예상치 못했던 삶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는 것이 바로 인생입니다. 이 책속의 주인공 오스만은 한권의 책으로 말미암아 자신을 재발견해가는 새로운 길의 접점에 서게 되고 낯선 여행길에 오르게 됩니다.


이스탄불의 평범한 공대생이었던 오스만은 어느 날 아름다운 여학생 자난을 보게 되고 한눈에 반합니다. 그녀는 한권의 책을 들고 다녔는데 오스만은 이 책을 구해 읽게 되고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절대적인 힘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한편 자난의 연인인 메흐메트는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게 되고 자난과 오스만은 그를 찾아 이 책과 함께 버스 여행길에 오르게 됩니다.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낯선 곳으로의 여행길. 이 책의 배경은 1980년대 터키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서구의 거대한 음모의 잔해가 아직도 남아있는 것은 절대적인 평화와 안정과는 거리가 먼 그 시대의 상황이 마치 우리의 과거사와 동일시되어 견주어 보게 됩니다. 낯선 여행지에서 우연을 거듭하며 맞부딪치게 되는 상황과 그 곳에서 만나는 새로운 인연들.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도 그런 것이 아닐까요.


나 혼자만이 사는 세상이 아닌, 누군가와 함께 하고 우연이든 필연이든 끊이지 않는 고리가 되어 한 세상을 살아가는 존재들이라는 것. 이 책을 중반부까지 읽어 내려가는 중에도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내내 생각해야 했습니다. 재미를 추구하며 가볍게 읽어 내려가기에는 쉽지 않았습니다. 인생의 뒤안길에는 우리가 예상치 못하는 어두운 그늘이 얼마나 많은가요. 인생에 대한 해답은 알고 보면 그 어디에도 없는 것 같습니다. 나와 내 주변, 더 나아가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걸어가는 삶의 모습은 저마다 다른 목적과 결과로 나타납니다. 그 어떤 객관적인 평가도 내릴 수 없는 오로지 주관적인 삶의 미학.


외롭고 힘들고 누군가에 의지하고 싶을 때 우리는 각자 마음의 평정을 찾게 도와주는 개체를 찾습니다. 책이 될 수도 있고 음악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누군가의 품일 수도 있지요. 따뜻함과 온기로 내 자신을 추스릴 수만 있다면 얼마나 힘이 될까요. 삶이라는 것은 어떻게 보면 내가 주체가 되어 한 단계씩 발을 뻗어가는 여행입니다. 오스만이 터키 곳곳을 누비며 많은 인연들을 만나고 그 안에서 느끼는 감정들을 컨트롤해나가는 과정, 그 자체가 이 책의 제목이자 우리들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삶의 모습임을 보여줍니다. 인생의 모험 길에서 새롭다는 것은 이전에 내가 경험해 보지 못한 인식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익숙함으로 다가옵니다. 이것이 인생의 진리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생의 마지막 순간에 내 자신의 내면이 추구하는 바를 온전히 깨닫고 만족하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요. 조금은 난해하고 계속적인 의문을 내 자신에게 던져주는 저자의 뜻을 전적으로 이해하기엔 어려웠지만 한권의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저마다의 의미를 풀어놓고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기 마련이니 더 이상의 고민은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제가 느낀 것은 오스만이 터키와 이스탄불 전역을 누비며 한 여행길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과정과 많이 닮아있다는 것. 그 시간 속에서 좀 더 나를 알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삶이 진리를 찾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삶의 반증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좀 더 깊은 이해와 해석을 위해서는 내 삶의 성숙기에 이 책을 한번 더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