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는 나의 여행
임영신 지음 / 소나무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화"를 위해 길을 나선 여자_임영신씨가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담담히 담아낸 책이 바로 "평화는 나의 여행" 이다.

 

책 제목만 들었을 때는 단순히 여행기라고 지레 짐작했었는데

온전히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험난한 이라크까지 긴 여정의 길을

마다않고 먼 길을 떠나 겪은 그녀의 체험담(수기) 이더라.

 

책 표지에서부터 아이들을 향해 환히 웃어 보이는 그녀의 얼굴이

단연 눈에 띄고 저자의 이력에 더 궁금함을 갖게 한다.

저자소개란을 보니 더욱이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평범한 세 아이의 엄마인 그녀가 이라크 반전평화팀의 일원으로

무기와 총기가 난무하여 위험하기 짝이 없는 그 곳에 "평화운동"의

이념아래 한번도 아닌 여러차례의 여정을 줄곧 해오고 있다는 것이

정말 놀랍고 같은 여자로써 그녀의 용기에 눈이 다 번쩍 뜨인다.

 

쉽지 않은 선택이었을거라고 여겨지지만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서 더더욱 그 길을 택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하는 그녀.

고통받는 이의 눈으로, 죽어가는 이의 눈으로 평화를 증언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그녀의 글안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뉴스로만 접했던 이라크와 미국의 전쟁, 이유없이 핍박당하고 하루아침에 자신들의 국토를 점령당하고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를 잃은 그들의 슬픔을 우리가 어찌다 헤아릴까 마는, 적어도 죄없는 이들이

소중한 생명을 잃은 채 소외된 자리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현실에서하루빨리 일어설 수 있도록 용기와 힘을 실어줘야 하지 않을까.

 

예전 한비야씨의 책에서도 이와 비슷한 상황을 마치 눈앞에 펼쳐지듯이 상세하게 이야기하고 있어 마음적으로 너무 안타까워 눈물만 나오고 어떻게 하는 방법이 그들에게 도움이 될까? 생각해 봤었다.

 

일반인들은 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을 그들은 하루 아침에 겪고 이유없이 모든 것을 빼앗기고 전 국토가 아수라장이 되어 한 나라의 모든 권력이 침해당하고 말았으니, 다시 재정립되기까지는 얼마나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냐, 말이다.

 

책 표지 뒤, 성공회대 신영복 교수가 쓴 말이 마음에 와닿는다.

"평화로 가는 길은 없습니다. 평화가 바로 길입니다."

이 책의 모든 것을 한줄로 압축하여 표현하고 있는 말인 듯 하다.

 

저자의 이야기와 함께 흑백 사진과 짧은 메시지가 담겨있다.

그 사진을 함께 보며 읽다보면 마음이 더 애잔하게 느껴진다.

 

지구상의 수많은 나라들 중에서 분단의 아픔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이듯, 그들이 원하지 않았지만 전쟁의 희생자가 되어야 했던 현재의 상황이 우리와도 너무나 닮아 있는 것 같아 더 공감하며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한 민족이 서로의 등에 총을 겨누고 더 큰 권력을 차지하고자 후생에서 구원받을 수 없는 중죄를 저지르며 마치 평화를 위해 이 길밖에 없다고 외치는 강대국인 미국, 그리고 약자인 이라크.

 

새로운 시각으로 진정 평화를 위한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평화를 위한 길은 우리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언젠가 나도 저자가 동참한 "피스보트"의 길에 같이 오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