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들의 타로
제인 라일 지음, 올리버 버스톤 그림 / 황금꽃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처음엔 조금많이 황당하였다. 국내에 그리스 신화타로라는 일종의 공식적인 타로가 있고, 그것마저도 마이너 56장까지 모두 갖춘 타로인데, 일반 덱가격을 호가하는 2만 8천이라는 가격으로 딸랑 메이저22장만 갖춘, 그것도 해석이 힘든, 설명이 부족한 이런타로를 판매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

타로는 기원이 불분명한 점술의 일종으로써 보통 '점성술'로 분류되는 학문이다. 구성은 메이저22장 대 아르카나와 또는 대비밀 아르카나라는 불리는 카드와 마이너 56장 소 아르카나와 또는 소비밀 카드/아르카나 라 불리는 카드가 78장을 이루어 각카드에 그려진 이미지속의 상징물 해석과 숫자의 의미, 또는 그 카드만의 고유한 해석을 가지고서 어떠한 일에대한 해석을 하는것이다. 하지만 더욱 재미 있는것은 메이저 22장과 마이너 56장이 의미하는 카드장수의 의미인데, 메이저 22장의 각 숫자를 더해보면 재미있는것을 발견할수있을것이다. 자 이 것을 보는 여러분 메이저는 0부터 21까지의 숫자이다. 각각 더해보고 요리조리 조합해 보라.

이것은 수비학의 흔적을 보여주는것으로 타로를 사용하는데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사실 이 책 또는 덱을두고 타로라 말하기엔 부담스럽다. 제일 화나는것은 10. The wheel of fortune의 이름인데, 영어가 아니라서가 아니라 '행운의 수레바퀴'란 이름 때문이다. 이것은 행운이 아니라 운명을 의미한다. 그래서 정확한 이름은 '운명의 수레바퀴'가 맞는 것이다. 또한 메이저 아르카나의 내용인물들에겐 상징해석이라는것이 상당히 난해하고 어렵게 되어있으며, 타로라 하기엔 너무 부족한 점이 아쉽다.그러나 역시 타로를 입문하는 초보자들에겐 적합한 카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 신화 타로 해석 사전
줄리엣 샤먼버크.리즈 그린 외 지음, 조하선 외 옮김 / 물병자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물병자리는, 내가 알기로는 점술,신비주 학문, 별자리 학문등 그런 관련책의 전문 출판사인것으로 알고있다. 저자는 누구인지 잘 알수없지만,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발간된 '양식을 갖춘'타로라고 할수있겠다. 많은 잡지 부록, 만화부록등으로 나오는 상징성 부족하고 흥미위주로만 제작된 메이저 22장의 타로가 아닌, 마이너 56장도 갖춘, 상징성이 가미되어있는 타로의 양식을 갖춘 정말 '타로'라고 할 수있겠다고 하겠다.

덱의 내용은 덱네임처럼 그리스 신화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약간 설명하자면 12.The Hanged Man은 인간에게 불을 주어 제우스신에게 노여움을 얻어 바위에 매달려 계속 생겨나는 심장을 독수리에게 쪼인다는 그 형제신 중의 한 명이고, 13.The Devil은 인간을 유혹하고 있는 반인 반수 판의 모습을 하고있다. 7.The Chariot 전차는, 위대하고 용맹스런 황금의 마차를 자긴 아폴론의 모습을 하고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신의 모습이 덱 속에 담겨져 있다.

마이너 수트는 각자 컵스(Cups)소워즈(Swords)펜타클(Pentacles)윈드(Wends)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재미있는것은 펜타클(Pentacles)의 모습이 전형적인 부와 성공을 상징하는 사이클속의 Gold Penttacles라고 할수있다. 해석은 그리 어려운 편이 아니며, 솔직히 정식 타로점에는 그다지 유리하지 않은 덱이지만 초보자가 공부하기엔 적합하다고 할수있다. 다만, 안에 들어있는 작은 해설집의 내용이 기대이하로 부족하여 초보에겐 상징성 공부를 하기엔 다소 오려움이 딸린다는 것 일까?

이럴때에는 관련서적인 '그리스 신화 타로 해석집'을 구입하여 보시길 바란다. 몇몇분들은 '치사하다- 어떻게 저렇게 상업적일수 있냐?'라고 말씀하실수 있겠지만 사실은 타로라는것이 그렇게 간단하게 설명될수있는것이 아니다. 주로 미국에서 출판되고 있는 U.S Games의 타로나 로스카라베오의 덱들도 전용 가이드 북이 따로 판매되고 있으며, 그것이 일반화 되어있다는 것이다.다만, 책이 덱보다 비싼것은 의문스럽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2 - 사랑의 테마로 읽는 신화의 12가지 열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2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에 관련된 책은 많다. 서양쪽 신화의 대명사인 그리스와 로마 신화... 우리나라에서는 동방신화라 하여 불교쪽의 영향을 많이받은 신화가 자리잡고있다. 아수라..가루다왕... 등등의 익숙한 이름들. 또한 북구의 켈트 신화.. 이집트의 신화.. .알려지진 않았지만 마야의 신화까지 문명을 가지고있었던 역사속의 도시의 이름을 딴 신화는 우리 사람들과 깊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 또한 그런 신화를 공부하는것에 알지못할 매력을 느낄것이다.

신화를 공부한다는 것은 사실 인간의 근본을 찾아해매는 자아의식의 행위라고도 할수있다고 한다. 인간이 허리굽은 원숭이 오스트랄로 피테쿠스에서 시작되었느냐, 신 야훼가 창조하였냐 등의 내용은 사람들에게 큰 관심거리가 될수밖에 없다. 그도 그럴것이 '인간의 근본'이란게 처음부터 난 귀하고 소중한 생명이란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하고싶은 인간의 욕망때문이다.

몇몇 신화에서는 신이 지나치게 신격화된, 완전히 인간과는 다른 종족으로 분리되는 그야말로 '신'이 되는경우도 대다수 있지만, 그리스와 로마신화는 그 성격이 조금 분리된다. 그리스의 신들은 인간과 비슷한 생활을 하지만 약간 부유층의 안정된 모습을 하고있다. 인간처럼 나쁜신도 있고 여색에 빠진 신도있고... 더럽고 추잡스런 신도 있다.
그들은 인간처럼 먹고 마시고 이야기하고 생활하며, 질투라는 것도 하게된다. 그리고 더불어 인간이란 존재가 신이 될수있다는것을 밝히며 인간을 환영의 세계로 끌어들이게 된다.

신화에 관련된 책은 많다. 그중 그리스 로마 신화가 차지 하는 비율이 제일 많다고 할 수있겠다. 그 많은 책들은 대부분 잘 알려지거나 유명한 신들의 이야기가 담긴 내용을 총괄/포괄적으로 정리하여 모아놓은것 뿐일것인데,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조금 다르다. 신 한 명 한 명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그 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연결된 다른 신들또한 이해하며 결국에는 신화라는 그 세계 자체를 이해할수 있게 해준다.또한 컬러 그림들도 꽤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조금씩 헛점이 많이 보이고 부실한 내용도 없잖아 있으며, 산만한 느낌이 들지 않는것도 아니지만 그나마 괜찮은 책으로 분리될 신화관련 책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와 신비주의
존 킹 지음, 김량국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나 또한 타로카드를 하면서 수비학이나 마방진, 수점술, 게마트리아 등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서적을 찾기 시작했다. 사실 수비학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인 '수에 담겨진 단어의 의미'라는것인데, 많은 공상소설들의 내용이 되기도 하고 666이라는 악마의 숫자가 의미하는 많은 실존인물과 지명의 명칭에도 유명했던 것 이다. 나도 처음 수비학을 접한것은 모 작가님의 코리아 닷컴 이라는 소설을 읽게 되어서부터였는데 당시 중1이었던 나는 너무 신기햇었다. 매미가 땅속에서 몇십년동안을 잠들어 있었던 이유등과 수에 관련된 미스테리와 더불어 그것들의 의미.

당시에는 '정말 머리좋은 사람들'만이 그런것들을 공부하고 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1때 타로에 빠져 지금까지 공부해오면서 나도 이제는 타로를 조금 알겠지... 라고 생각함과 더불어서 채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만나 이러한 학문을 소개받으면서 내겐 수비학도 '타로'처럼 그리 낯설지 않은 학문이었다. 비록 그것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연구할수있는 자가 되진 못하겠지만, 미묘한 수의 연결과 그것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신비하다고 느껴지면서도 계속 의문을 가지는 그런 것이다.

이 책은 수비학에 관하여 대채적인 예시와 함께 숫자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 풀이법... 그리고 생각치 못한 수에 관련된 신화에 관련된 내용도 조금씩 들어 있었다. 또 내가 앞서말했듯 666과 같은 숫자를 내포하고있는 단어들 같은것을 알려주고 있으며 당신을 수비학에 조금더 깊게 들어갈수있는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 입문 - 초보자를 위한 정통 마법서
스티브 세이브다우 지음, 조하선 옮김 / 물병자리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최근엔 여러 판타지 물들의 인기가 급상승 하고있는 가운데, TRPG계통의 게임도 인기를 얻고있고 여러모로 판타지의 많은 요소들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는 젊은이들이다. 또한 오컬트적 성향이나 점술에 관심을 가졌던 젊은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백마법,흑마법,녹마법,적마법 등.. '마법'이라는 매혹적인 이름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한때에는 미즈도야기라는 내가 보기엔 아주 위험한 악마소환술이 유행하기도 했는데, 얻는것보다 잃는것이 많은 이 마법은 위험한 것이다.

마법은 유럽이나 아메리카에서도 많이 연구되고 있는 오컬트 학문이기도 한데, 특히 판타지의 본출신지라는 유럽쪽에서는 '마녀회'라는 오컬트 연구단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어 있기도 하다. 사람들이 또는 판타지 매니아라면 한번쯤은 입문 시도를 해보았을 마법입문식 이란것은 사실, 판타지속에 나오는것처럼 현란한 파이어 볼트나 아이스에로우 등의 마법을 쓸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오히려 그런것들이 인간의 한계에서 엄청 벗어난 것이 아닐까? 솔로몬의 12열쇠등의 책등을 보면 솔로몬이 흑마술사였단것을 알수있고 악마소환술의 대가 아그리파도 마법사였다는것을 알수있지만, 어디에도 그들이 현란한 파이어볼트 등의 마법을 사용했다는것은 보이지 않는다.

마법이란 것은, 자신의 내면을 평정하고 우리들이 살고있는 공간외의 생명체 또는 그러한것들의 힘을 빌려 어떠한 것을 행하는것으로 옛날에는 어떠했을지는 모르나 현대세계에선 그런 마법이 불가능한 것이 진실이다. 이 마법입문은 징그럽고 괴팍한 재물들로 시행되는 마녀입문과는 차원이 틀리며, 어떻게 보면일종의 수행으로 보일수도 있는 마음의 평정과 자기내면을 다스리면서 일종의 기와 오로라로 앞으로 배울 많은것들의 기본을 쌓아두는 과정이다.

솔직히 이것을 완벽하게 떼낼 시간많고 돈많은 사람이 있을지가 의심스럽지만, 정말 이 책 하나로 마법입문을 행한다면 어설프고 이상한 흑/백/적/녹 마법의식보다는 낫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 그런것들또한 실제 아메리카 쪽에서 건너온 마법책을 해석한것을 배포한것이겠지만, 실프를 소환한답 시고 '카타르 마야'를 외치는것보다야 낫지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