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가 신형철은 번역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번역은 회를 뜨는 일과 비슷해서, 어차피 살아 있는 생선에 칼을 댈 수밖에 없다면 최대한 싱싱한 상태로 먹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

 

 

 

번역하는 입장에서 그의 비유가 100퍼센트 들어맞는다고 인정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수긍이 간다. 그럼 이 비유로 봤을 때 번역가가 싱싱한 회를 뜨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뭐가 있을까? 그야 무궁무진한 답변이 나올 수 있겠지만 가장 기초적인 일은 아마도 칼을 날카롭게 갈아두는 일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말이 쉽지 평소에 칼을 갈아둔다는 게 그리 녹록치 않다.

 

 

 

 

다시 이 비유로 돌아가 번역가가 잡게 될 고기가 고등어가 될지 다랑어가 될지 아니면 고래가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어디까지나 프리랜서인 번역가는 그때그때 들어오는 의뢰, 다시 말해 손님이 먹고 싶어 하는 생선에 맞춰 최대한 싱싱하면서 버리는 부분 없이 알뜰하게 회를 떠야 하는 데 그런 기량을 닦기까지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나로 예를 들자면 마음 같아선 쉽고 말랑말랑하고 달콤한 로맨스 소설만 맡아서 이대로 숟가락 놓을 때까지 쭉 가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나 항상 현실은 이상을 배신하는 법. 절대로 맡지 않겠다던 수학 공식이 가득 찬 소설을 맡아서 미리부터 식은땀을 흘리는 와중에 이번엔 무기와 테크놀로지 용어가 무수히 나오는 소설을 받았다. 주여, 어찌 이런 시련을...이라고 절규하고 싶은 걸 꾹 참고 그래서 요즘은 무기 관련 용어를 하나씩 배워가고, 무기 관련 카페와 사이트도 기웃거리는데.

 

 

 

 

오, 신기하게도 나랑은 전혀 인연이 없을 것 같은 무기들이 조금씩 친숙해지기 시작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연일 북한의 강도 높은 허풍 내지 도발에 미국이 한반도 인근 해역에 배치하는 미사일 관련 기사들을 쉽게 접할 수 있어서 이젠 B-52기와 F-22(사진으로 봤는데 좀 멋지구리하더라)의 차이도 알게 됐고, BLU-82폭탄, 일명 데이지커터와 모아브 같은 폭탄 명칭도 익혔다. 이 소설이 끝날 쯤에는 누군가가 네이버에 올린 엔터프라이즈 항공모함 대 세종대왕함이 붙으면 누가 이기나요?란 질문에 답변도 달 수 있을 것 같은 착각마저 일고 있다.

 

 

 

 

물론 이렇게 벼락치기로 공부한 내용은 답안지에 답을 적는 순간 사라지는 지식처럼 번역이 끝나면 허무하게 잊어버릴 것이다. 그게 사실 모든 번역가의 숙명이다. 일의 성격상 잡다하고 다양한 분야의 표면을 건드리면서 그때그때 작업을 해야 한다. 그래서 모든 걸 아는 것 같지만 사실 아는 게 하나도 없는 게 단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어쨌든 회는 떠야 하고, 기왕지사 싱싱하고 맛난 회를 뜨려면 이렇게 이를 악물고 칼을 가는 시간도 필요하다는 걸 실감하면서 다시 태어나면 번역은 하지 말아야지, 라고 다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야흐로 스크린셀러 열풍 시대다.

건국 이래 불황이란 말이 끊이질 않았던 출판계지만

힘든 작년을 어찌어찌 버티고 맞은 올 해는 곡소리도 나지 않을 만큼 흉흉한 출판계를

그나마 스크린셀러가 먹여 살리고 있다는 소리가 나올 정도니.

자기 계발서와 경제경영서가 떠난 자리를 스크린셀러가 메워주고 있다는 걸

그나마 고맙게 생각해야 하나.

 

 

 

사정이 이렇다 보니 외서 기획에서는 영화화 될 조짐이 보이는 작품부터

섭외하는 경향이 짙어가고 있다. 한편으로는 그보다 발 빠르게 작가들이

소설을 쓰는 단계에서부터 영화화를 염두에 두며 박진감 있고 빠르게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경향도 있다.

 

 

사실 영화보다는 책쪽에 애정이 조금 더 기울어 있는 나로선

이런 현상이 좀 이해하기 힘들기도 했다. 과거엔 책과 영화는 나란히 갈 수

없는 존재라는 인식이 좀 더 짙지 않았나? 책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은

책이 담고 있는 깊이와 그 원대한 상상력을 제대로 표현해내지 못한다는 평이

대체적이었는데. 어쩌면 그 인식을 뒤집게 된 최초는 바로

‘반지의 제왕’시리즈가 아니었나 싶다.

그야말로 눈부시게 발달한 기술로 ‘반지의 제왕’은 마니아들도 감탄시킬 만큼 화려하고

역동적인 화면으로 관객을 매료시켰으니까.

 

 

 

 

그 후로 차츰차츰 동반 성장세를 보이던 책과 영화는 요 몇 년 새 놀랍게 친밀한 파트너가

된 듯하다. 작년엔 '완득이', ' 화차', '용의자 X의 헌신', '밀레니엄 시리즈 1'편이 성공을 거두더니

올 해는 '파이 이야기', '클라우드 아틀라스', '남쪽으로 튀어', '웜바디스', '레미제라블'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지금도 '안나 카레니나'가 극장에서 선전하고 있고. 앞으로 개봉될 '위대한 개츠비', '월드 워 Z', '호스트'등이 숨을 고르고 있다.

 

 

그야말로 일일이 열거하기도 숨 가쁠 만큼 많은 작품들이 스크린셀러란 장르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출간된 후 어느새 관객에게서 잊혔던 작품들이 개봉 영화를 통해 다시 주목 받게 된 건

기뻐해야 할 일일지도 모르겠지만. 차근차근 시간을 들여 활자로 음미하고,

또 가끔씩은 책장을 덮고 생각에 잠겨 보며 경험해야 할 책이란 존재가 어느새 화려한

은막의 힘에 기대야 할 정도로 힘이 빠졌나 생각하면 슬프기도 하다. 반짝거리는 것들만 주목받는 세상에서 이제 책은 더 이상 반짝거리지 않나 보다. 그렇게 스크린으로도 주목받지 못한 많은 좋은

책들은 기억의 저편으로 밀려날 것이라(아니, 뜨거운 눈길 한 번 받지 못하고 생을 마감할 수도 있겠지)생각하니 마음 한 편이 아릿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