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하게도 말콤 글래드웰의 책을 좋아하지도 않으면서 그의 책을 두 권씩이나 읽었다. 블링크를 읽고 이번에 읽은 아웃라이어가 두 번째다. 티핑 포인트까지 다 읽어볼까 생각중이긴 하지만 별로 실현 가능성은 없다. 시간 대비 꼭 읽어야 할 거란 생각이 안 들어서 말이다.  

 

이 책 아웃라이어는 참 재미있다. 실용서인지 인문서인지 자기 계발서인지 분류가 아리까리한 책이긴 하지만 책장이 휙휙 넘어가는 속도는 눈 돌아가게 빠르다. 이런 면에서 글래드웰이 솜씨좋은 이야기꾼이란 점에는 점수를 주고 싶다.  

 천재들이 왜 천재인가? 그리고 그들의 성공 비결은 과연 무엇이었나.   이점을 테마로 풀어간 글래드웰은 1만 시간의 법칙. 즉 한 분야의 고수가 되기 위해선 1만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풀고 있다. 흠. 이게 하루에 3시간을 해도 10년을 부어야 한단 말이지. 과연 녹록지 않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해 보이진 않으니 이래서 독자들의 구미를 당기게 된다. 그리고 이어서 세상에서 이름난 천재들의 성공 배경을 푼 부분은 역시 참신했다.  

 그러나 읽어갈수록 좀 기분이 이상해지기 시작하더니 거의 끝부분에 이르러 동양의 벼농사를 짓는 지역의 아이들이 수학과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 부분과 환경과 유산이 크게 작용한다는 이론에서는 급실망하게 된다. 뭐야. 이거야 말로 뭐 대를 이은 가난과 부의 스토리잖아. 글래드웰의 논리대로라면 우리 나라에서 천재나 성공한 인물이 나올 수 있는 곳은 그야말로 강남 그 중에서도 8학군의 아이들이란 말 아닌가.  

 

물론 글래드웰이 강남 땅값 올리자고 이런 책을 쓴 건 아니지만 읽어가다보면 짜증나고 우울해지는 부분이 적지 않다. 부모의 부와 적극적이고 능수능란하게 사회생활을 해가는 실용 지능이 높아야 한다는 부분(그것도 역시 부유한 부모들이 잘 키워줄 수 있는 여건이 크단다)과 아이를 다양한 환경에 노출시켜야 한다는 (이것도 돈이 들어가야지 원) 이론은 뭐... 결국 개인이 자신만의 날개로 날아갈 수 있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이론아닌가.  

이래서야 책을 읽는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지 않을까.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이 각박하고 빡빡한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통찰력과 지혜를 얻고자 함이지, 기존 현실의 현상 유지와 합리화를 위해 읽는 게 아니다. 고로 이 책은 절반의 실패이다. 기존의 성공한 인사들의 성공 배경을 자세하게 밝히면서 그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밝힌 건 참신하고 독특한 접근법이었지만 후반부의 문화 유산과 가정의 역할에서는 별다른 타개책이 없이 답답하고 진부한 현실 묘사론으로 읽힌다는 것.  

 

글래드웰이란 네임 밸류 때문에 한동안 이 책이 잘 나가긴 하겠지만 눈을 번쩍 틔우는 통찰력은 없었다는데 사뭇 안타까운 책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대 2009-04-04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님 일본전산 완전 강추합니다. 이댓글을 달려다가 닭살이 쫙쫙 돋네요 저두 아웃라이어 읽다가

고만 읽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책 리뷰 보다 님 글을읽고 책한권 추천 해요 일본전산

일 이던 삶 이던 어느것을 할때 가장 중요한것은 기회나 타고난 소질 기타 등등 중요한것이 많이 있겠지만 그래도 모니모니해두 가장 중요한것은 마인드지요

긍적적인 마인드와 할수 있다는 마음 가짐 뜨거운 열정만 있다면 누구든 어떻게 태여났던

어디에 있던지 즐기면서 행복하게 살수 있는 삶이 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오늘도 이렇게 글을 쓸수 있는 저의 삶에 너무나 감사해 하고 있씁니다.

행복한 삶 사세요 지나가던 악대 올림니다^^

dulcineta 2009-04-14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악대님. 추천하신 책 읽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