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이야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잊어버리고 있었다. 지금까지, 마이리뷰를 쓰는 방식이 과거의 읽었던 책들을 떠올리며 쓰고 있어서 이렇게 갑작스럽게 생각이 나면 쓰곤 한다. 이 책이 기억나게 된건 케이블에 방영되고 있는 비밀독서단덕분이다. 좋은 책이 추천되고 있어 나름 챙겨 보고 있는데 역시 굿 초이스.

처음은 이안감독님의 라이프 오브 파이를 통해서 접해서, 책이 있는 줄도 몰랐지요.

당시에 지역아동센터에서 봉사활동을 하다가 같이 일하던 여동생에게 영화를 보여준다고 했다가 이 영화를 보게 됐네요. 일이 커져서 저 포함해서 4명이 3D로 영화를 보게 되었지만. 계산은 제가 ........!

조금 늦게 들어가서 파이가 칠판에 외운 원주율을 적는 장면부터 감상했습니다. 이안감독님의 영상미에 빠져서 헤어나기 힘들었습니다. 영화의 감상평을 쓰자면,

-재미있다.

-영상미가 엄청나다. 생감을 잘 쓴 것 같다.

-인도라는 소재가 인상적이다.

-숨겨진 뒷이야기가 반전이다.

영화를 보고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생각을 많이 한 기억이 있네요.

 

책은 군 생활에 적응을 못하고 부대를 한번 옭긴 후 새로운 부대에서 적응하고 있었을 때 읽었습니다. 책이 있을 줄 상상도 못하다. 책을 발견한 그 심정이란 마치 산삼을 발견해서 심 봤다.” 할 정도의 쾌감이랄까. 하하하

역시 항상 느끼던 것이지만, 영화가 책을 따라오려면 한참인 것 같네요. 책의 장점은 역시 다양한 시점 같습니다. 전지적인 신이 되었다가, 주인공이 될 수도 있고, 3의 인물이 될 수도 있고요. 영화는 영상이 주는 힘이 있지만, 관객들은 항상 관찰자 입장이다 보니 깊은 내용을 담기가 힘들고요.

왠지 여기저기서 뱀 다리가 생기는 듯 나만 그런가. ;)

하여튼 머든 군대에서 읽으면 생각이 깊어지지요.

책에는 영화에서 빠진 에피소드가 더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태평양에서 혼자 고뇌하는 파이의 모습에서 많은 것을 느낀 것으로 기억이 나네요. 무엇보다 영화에는 없는 부분이지만 구현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장님설정이라 블랙스크린일 수도 없고 파이가 눈병이 걸리고, 영양이 부족한 상태에서 앞을 볼 수 없을 때 자신과 같은 태평양표류자를 만난 이야기인데요. 스포일러라 이 정도로 하고 싶지만, 이글을 보는 사람이 없을 거라 생각하고 파이가 인육을 먹고 눈이 회복하는 머 그런 이야기. 필력이 부족해서 직접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 죄송합니다.

책의 포인트는 파이가 태평양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대상은 리처드 파커, , 스스로 뿐이라. 독백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은 차지해서 읽으면 읽을수록 태평양에 있는 스스로를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아 두서없이 써버렸다. 그래도 쓰니까 좋네. >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