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역사적 예수 -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앤서니 르 돈 지음, 김지호 옮김 / 도서출판100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부제가 오히려 제목이 되어야 할 것 같다. 역사적 예수 연구보다는 오히려 방법론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자신이 ‘포스트모던‘ 역사가임을 강조하며, 역사적 예수도 이러한 방법으로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모던한 역사 서술 방식이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책에서는 인간의 기억이 굴절되고 왜곡된다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 기억의 불완전성이 역사적 예수를 파악할 수 있는 창이 된다고 본다.

예를 들면, 성전을 허물고 사흘 만에 다시 세우겠다라는 발언은 예수가 한 발언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마가복음과 요한복음에서 각각 다른 맥락으로 나타난다. 마가복음에서는 누군가가 예수를 모함했는데, 이 사람이 ‘예수가 성전을 허물고 사흘만에 세운다고‘ 고발한 것처럼 나오는데 반해, 요한복음에서는 예수가 이 말을 직접했지만 그것은 은유적인 표현, 그러니까 자신이 죽고 나서 사흘 만에 부활할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차이를 저자는 굴절과 왜곡이라는 말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각 복음서 저자들의 신학적 숙고와 의도적인 반-기억이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일련의 과정은 반복되며 일종의 내러티브 기억을 구성한다고 설명한다. 예수에 대한 기억이 이런 방식으로 다양하게 가지를 쳐 뻗어나간다.

역사적 예수 연구 자체는 기존의 역사비평 신학자들의 작업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기억이론을 차용함으로써 예수에 대한 연구가 단순히 해체작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상황에 처해 있는 공동체에게 유의미한 내러티브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억굴절을 책에 구현하려고 했던 것인지, 구성이 다소 산만하고, 역사적 예수 연구 자체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별다른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아쉬운 점이 있다. 개인적으로 위에 언급한 성전 해석만으로 충분히 유익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싸를 죽여라 - 온라인 극우주의, 혐오와 조롱으로 결집하는 정치 감수성의 탄생
앤절라 네이글 지음, 김내훈 옮김 / 오월의봄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소위 미국의 ‘대안 우파‘을 다루는 책. 대안 우파를 지칭하는 낯선 용어가 많았지만, 그 행태는 우리나라의 일베와 비슷한 측면이 많아서 대체로 공감하며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정체성 정치의 한계도 다루고 있어서, 그동안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던 부분이 정리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수 - 그는 누구인가? 비아 문고 15
제임스 D. G. 던 지음, 양지우 옮김 / 비아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예수의 생애, 활동, 자기이해. 역사적 예수의 주요 주제를 간략히 다루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구체적으로 우리는 포퓰리즘을 이렇게 정의한다. 포퓰리즘이란 사회가 궁극적으로 서로 적대하는 동질적인 두 진영으로, 즉 ‘순수한 민중‘과 ‘부패한 엘리트‘로 나뉜다고 여기고 정치란 민중의 일반의지의 표현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중심이 얇은 이데올로기다.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렇게 기억을 물리적 존재로 보는 견해는 오해를 낳기 마련이다. 진실을 말하자면 자전적 기억은 우리가 소유하거나 소유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현재 순간에 현재의 요구에 따라 만들어지는 정신적 구성물이다. 과학자들은 이런 과정을 인지적 수준(사고, 감정, 믿음, 지각의 수준)과 신경적 수준(뇌의 활성화)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인지적, 신경적으로볼 때 바이어트는 "자신의 기억을 끄집어내서 들여다보지 않는다. 그럴 필요가 있을 때마다 매번 새롭게 기억을 구성한다. 이것은 기억이 고정적이고 나눌 수 없는 실체라는, 과거로부터 전해지는 가보라는 인식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 책에서 내가 살펴보고자 하는 견해는 기억이 습관 같은 것이라는 점이다. 요구가 있을 때마다 매번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살짝 다른 방식으로 부분들로부터 뭔가를 구성하는 과정에 가깝다. - P15

여러분이 기억을 할 때는 이미 완전한 형태로 존재하는 무언가를 불러내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억은 과거만큼이나 현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기억은 순간에 만들어지며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면 곧바로 구성 요소들로 다시 떨어져 나간다. 기억하기는 현재시제로 벌어진다. 그러려면 뇌의 여러 부위에 분포하면서 다른 많은 정신적 기능도 맡고 있는 인지 과정들이 서로 정확하게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