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교육 - 골든세계문학선 13
플로베르 지음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1992년 4월
평점 :
절판


19세기 프랑스 문학사에서 플로베르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어떠한 사조에도 속할 수 없는 그만의 독특한 관점 때문일 것이다. 흔히 낭만주의의 마지막 세대로 또는 사실주의의 선구자로 해설되는  그의 작품은 실상 낭만주의로도 또 사실주의로도 온전히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특히 '감정교육'은 삶의 현실에 대한 치밀한 관찰과 꿈으로 인도되는 이야기의 복잡 다단한 상호 연관관계를 개인의 이야기histoire와 역사Histoire 속에서 훌륭하게 그려내고 있는 역작이다.

꿈꾸는 자아의 내면으로 침잠하여 자연과의 만남을 강조하는 낭만주의의 관점에서 보자. 이 작품에는 스스로 되돌아 볼 주인공 내면의 깊이도 없을 뿐더러 돌아가야 할 원점으로서의 자연도 없다. 주인공의 심리는 고정되지 않고 늘 이리저리 방황하며, 각자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상황의 논리를 따라간다. 그들은 낭만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정치적이며, 그들이 처한 19세기 전반기 격동의 세월은 거시적인 정치와 미시적인 정치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온갖 전략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렇다면 사실주의인가? 실제로 인물들이 등장하고 만나는 장면들에서 배경은 너무도 섬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배경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 시작되는 인물들의 동작, 섬세한 제스쳐들은 이 작품이 사실주의의 선구라는 모파상의 말을 그럴듯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등장인물들의 행위들을 이끄는 꿈은 어찌되는가? 안타깝게도 이 작품은 졸라의 작품들에 비해 환상과 이미지, 꿈들의 힘이 너무나도 강력하게 살아 있다. 꿈은 현실과 부단히 부딪히며, 현실을 유발하지만 그것은 늘 엉뚱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나폴레옹 3세 휘하 경찰관으로 돌변하여 옛 동지 뒤사르디에를 죽인 세네칼은 그 절정을 이룬다.  일관성이 없어 인생이 허무한 프레데릭, 일관성만 있어 인생이 허무해진 데로리에 등, 인간 삶의 불완전성은 꿈과 현실의 부단한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꿈과 현실의 만남 외에도,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만남은 바로 일상적 인간들의 작은 정치들과 거시적 정치사회의 만남이다. 내면의 신념을 지켜나가는 주인공이 없는 바에야, 이상적인 정치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플로베르의 관점이다. 주인공 프레데릭에게  돈을 빌려주며 내뱉는 뒤사르디에의 절망은 19세기 프랑스인의 것만은 아니리라. 정치상황에 따른 재빠른 의견의 수정, 이권에 따른 이합집산, 권력을 향한 동화와 차별의 전략들... 정치적 격변의 소용돌이는 의지를 지닌 인간의 걸작이 아니라 삶의 전체적이고도 구체적인 상황을 규정하는 조건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여기에 다시 우리는 실제 현실 역사와 작가가 구상한 가상의 이야기가 다시 맞물리는 현실과 꿈의 또 다른 만남을 목격한다.

꿈 없는 현실의 삭막함과 현실 없는 꿈의 공허함을 작가는 한 번에 뛰어넘는다. 꿈과 현실이 뒤섞인 영역에서 낭만주의적 주체는 상황의 논리 속에서 현실적인 모습으로 해소되고, 객관화된 인물들의 모습은 그들의 꿈과 욕망으로 귀착한다. 꿈을 좌절시키는 현실은 비관적이지만 다시 꿈을 생성하는 현실은 낙관적이다. 이 비관과 낙관의 리듬을 조절하는 것은 바로 인간들 간의 삶의 관계망, 즉 서로 다른 수준들이 복잡하게 얽힌 정치적 삶들의 영역이다. 모든 삶들이 귀속되는 이 정치적 삶들의 영역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면서, 이 작품은 스스로 또 하나의 정치적 견해이고자 한다. 예술은 세네칼이 말하는 도구로서가 아니라 조각난 등장인물들 각각의 꿈으로서 그 정치적 견해를 획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카메론 - 상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50
보카치오 / 범우사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문학가가 시대를 초월하는 작가이기 이전에 당대를 살아간 한 명의 인간이듯이, 문학작품도 시대를 초월한 고전이기 이전에 당대에 표현된 하나의 '이야기'(recit)이다. 그렇다면 하나의 문학작품을 읽어볼 때에는 그 문학작품이 처해있던 당시의 상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가 필수적이리라... 특히 데카메론의 경우는 당대의 상황에 비추어 봤을 때에는 너무나도 기발한 작품이기에 더더욱 그러하다.

중세말은 문화적으로 13세기까지 이루어 왔던 중세문명의 쇠락기 이자, 르네상스를 향한 새로운 기운이 용솟음치는 시대였다. 그만큼 사상과 심성, 문화적 가치와 일상생활은 서로 다른 의미들로 복잡하게 얽여 있었고, 그 복잡함이 풀리는 과정은 시대적 전환이라고 불릴만한 과정이었다.

이러한 변동의 시대는 사람들의 삶을 불안과 공포로 가득차게 했던 시대였다. 수확량의 감소와 인구의 감소, 정치적 혼란과 계속되는 전쟁과 정쟁들... 데카메론은 이 모든 파국을 '페스트'라는 말로 표현한다. 보카치오가 살던 시대는 죽음으로 뒤덮여 있었다.(참고로 페스트 이전의 13세기 인구수는 18세기 말에 가서야 회복된다.)

이러한 파국의 상황 속에서 대다수의 지식인들은 모든 가치를 전통적인 교회로 집중시키거나, 모든 정치권력을 국가로 집중시키고자 한다. 그것은 역으로 이단과 지방분권적 해체라는 반발을 유발한다. 이러한 가치의 획일화와 분열, 권력의 집중과 해체 사이에서 인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보카치오는 이러한 극단 한 가운데서 자신의 삶을 유쾌하게 꾸려가고자 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렸다. 데카메론이 지금으로서는 너무나도 단순하고 자연스러우며 유치한 이야기로 비춰질지라도, 당대로서는 기발하고 열정적인 이야기였음에 틀림없다.

웃고 울며, 먹고 마시며, 연애하고 어처구니 없게 죽어버리는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모습... 획일적인 가치나 집중된 권력과는 늘 괴리되면서도, 그렇다고 전적으로 분열되고나 해체되지 않는 일상적인 인간들의 모습...사람들은 이미 그렇게 살아왔음에도, 한 번도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 자연스러운 모습들이 당당한 필치로 표현된다. 한 마디로 <데카메론>은 비장미 넘치는 격한 감정의 시대에 인간의 웃음을 되찾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교양인 몽테뉴 1 - 전란의 시대
홋타 요시에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9년 5월
평점 :
품절


프랑스의 역사에서 16세기 전반이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찬란한 문화 부흥의 시기라면, 16세기 후반은 종교개혁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던 참혹한 종교 전쟁의 시기였다. 이 시기의 처절한 충돌은 다양한 문화적 충격에 대한 획일적인 종교적 포획이자, 강력한 왕권 중심의 국가 건설을 다시 한 번 좌절시키고자 하는 탈중심적 경향성의 발로였다. 미셸 드 몽테뉴, 자신의 시대의 사상엔 너무나도 낯설은 이방인이었지만 자신의 시대를 처절하게 살다간 교양인이었다. 종교의 외피를 둘러 쓴 사상적 독단론과 정치적 잔혹함은 자유로운 사유의 발걸음을 따라간 그에게는 너무나도 낯설은 것이었다. '에세'(수상록)라는 글쓰기는 바로 이러한 그의 생각을 표현한 그릇이자 그 내용물이었다.

이 책의 미덕은 바로 이러한 역사적 현실과 개인의 사상이 잘 짜여져 있다는 데에 있다. 몽테뉴의 저작들에 대한 이해, 몽테뉴 개인의 삶에 대한 애정 깊은 시선, 복잡하기 그지없던 당시 정치적 판도에 대한 통찰, 그럼에도 놓치지 않고 있는 장기지속적인 일상생활의 모습들 등 개인의 다양한 차원과 당시 현실의 다양한 차원들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다. 대중적인 차원에서, 몽테뉴에 대한 전기로도 손색없지만, 16세기 후반 프랑스에 대한 폭넓은 역사서라고 해도 과장은 아닐 것이다.

PS: 하인리히 만의 소설 앙리 4세, 영화 여왕 마고, 노스트라다무스 등은 이 시대한 이해를 보다 잘 도와 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