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나라 1
김진 지음 / 시공사(만화) / 1998년 6월
평점 :
품절


<바람의 나라>... 저는 이 책을 next라는 온라인 머드게임 제작팀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이 만화를 게임화 해서 만든 온라인 머그게임으로 그 인기가 하늘로 치솟는다죠. 작가 김진님은... 박력있는 부드러운 신빌운 그림체의 소유자. 이 분은 순정만화, 무협만화, 액션만화를 넘나들며 자유로운 만화의 세계를 열어가시는 분 입니다. 그래서 유일하게 아빠와 제가 동일하게 알고 있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저는 성인들이 주로보는 무협물같은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림자나 배경도 모두 펜처리가 되어있고 너무 딱딱하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김진님은 그런 결점을 보완하고자 펜선과 톤을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신 분 입니다. 모 책에서 김진님은 '되도록 많은 재료를 써볼것을 권해요. 그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느낌이다 다른 상황에 따른 재료를 사용할수 있거든요'라고 말씀하셨다. 나 또한 그 말에 동감한다. <바람의 나라>는 펜만있는 딱딱한 만화도 아니고 또한 톤만있는 허접 만화도 아니다. 어더한 굴곡이나 배경기법도 부드럽고 절제있게 표현하시는 김진님의 펜선은 이미 연필선의 자유로움을 뛰어 넘었다. 사실 내가 '바람의 나라' 만화책을 보게된 이유가 학교 도서실 때문이었다.

이 <바람의 나라>는 우리나라 옛 배경을 토대로 하고 있어서 우리학교 도서실에 존재하는 유일한 만화책이다. 정말 학교에서 인정할 정도로 작품성 높은 바람의 나라는 그 또한 심오성도 깊다. 첫 권가지고는 스토리를 제대로 파악조차 할 수없고 8권을 넘겨서야 서서히 스토리가 실체를 들어낸다. 그리고 한곳에서도 실수와 허점이 없는 칸칸마다의 꽉찬 배경은 사람을 답답 하게 할 수도 있으나, 바람의 나라를 보다 다른 책을 보면 허전하다 싶을정도로 그 느낌에 쉽게 익숙해진다. 무엇보다도 다중만화가를 꿈꾸는 이들에겐 교과서로 삼아라고 하고 싶고 만화매니아들에겐 '기억되는 작품'으로 남기게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전 1
CLAMP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6년 11월
평점 :
절판


오늘, 정말 처음 알았다. 여러분들은 제목으로 미루어 보나 내 말로도 짐작해보나 '성전'이 클램프의 데뷔작인것을 '처음 알았다'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난 '성전'이 클램프의 데뷔작이라는 것은 벌써 옛날부터 알고 있었다. 내가 오늘 처음 안것은 '내 수집품들인'란마 시리즈를 보면서 광고를 보면서... 내가 피눈물 모아 처음으로 산 란마 비디오에서 어렸을 적에 본'성전의 광고.. 아니, 그때는 성전인지도 몰랐었다. 그저 '저 여자 예쁘구나... 저남자도 멋있다. 재밌을것 같아... 이 비디오 사보고 싶다.'라는 정도였다. 나는 오늘 가만히 눈을 감고 생각해보니 클램프와의 인연은 나도 모르게 깊게깊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꼈다... C L A M P... C_L_A_M_P... C-L-A-M-P...그 어렸을적 부터 나는 클램프를 안 것이다!!!

이런 말도 안돼는 ... 이런 생각들을 하면서 나는 그 성전광고를 본후 란마를 보는둥 마는둥 감상한후 인터넷에서 성전 책을 구해봤다. 그런데, 날 반기는 것은 '죄송합니다. 이 책을 절판 되었습니다. '' 매진'... 정말 반갑게 맞아주었다. 나는 이것또한 운명인지를 알고 싶었다.

나는, 최근 타로카드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코스프레를 끝내고'꼭 돈을모아 타로카드를 사서 점을 보리라고 다짐했다. 오늘따라 그 마음이 더욱 절실해지는 듯하였다. 클램프. 당신과 나는 어떤 인연입니까? 내 미래의 사주는 어느곳에서도 자리를 잡지못하고 직장자리를 떠돌아 다닐 운명이라고 했습니다. 나는 운명을 미리 보았습니다. 그래서 결정하였습니다. 내가 어떤일을 하든(좋은쪽으로만, 내가 원하는 쪽으로만^^) 꼭 그자릴 지키겠다고...

클램프, 그리고 성전. 내 미래의 지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경 바빌론 1
CLAMP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1997년 1월
평점 :
절판


클램프 라면 주로 'X'또는 '성전'으로 많이 알려져 있을 것이다. 아니면 일부 사람들은 '카드캡터 체리'등으로도 클램프를 알 것이다.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클램프를 알게된 가장 큰 원인은 '카드캡터 체리'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필자 또한 그때 우연히 컴퓨터와 인터넷을 배워서 검색에 대한 실력을 늘렸으니까.

클램프는 이미 아마추어 동아리들 사이에선 신화가 되어버린 정말 신화인 존재다. 여성 4인조 그룹 만화가인 클램프는 세련되고 날카로으며 최근엔 '사쿠라'로 부드러운 이미지 까지 자유롭게 묘사한 작가다. 최근 '크램프의 일러스트'를 보면 상당히 은은하고 파스텔 물감같은 색체를 자주쓰고 또 어울리며 '처음부터 이런 부드러운 사람이었을꺼야'하는 생각을 자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생각을 하면 큰 오산이다. '클램프를 이미 많이 조사한 사람'이라면 잘 알테지만 클램프는 결코 적지 않은 작품들을 내어오면서 그 실력이 는 것이다.

누구든 '클램프가 단번에 그림을 그리는 것을 보면'정말 '천부적인 재능이다'라고 생각할 테지만, 제일 첫 작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삐뚤한 선과 부족한 뒷처림'가 아주 눈에 띄기 때문이다. '동경바빌론'또한 아직까지 팬들사이에서 잊을 수 없는 대작인데, 일러스트는 주로 단색과 3색을 섞은 강한 색을 사용한것이 보인다. 표지의 스바루의 제복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제복을 보면 X의 일부 일러스트와 혼동하는 일도 생긴다'

그러나 그 작품을 펼치면 그 각 작품만의 개성이 눈앞가득 펼쳐질 것 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동경바빌론'의 판타지 성인데, 연금술사와 치령사 등이 나오는 것을 보면 이점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있다. 내가 여기에서 이 책을 찾았을때 이미 절판된 것을 보면 팬들이 아직 '동경바빌론'을 잃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아니면 클램프 대작 중 하나인 '동경바빌론'을 소장용으로 간직하고 싶었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엑스 X 1
CLAMP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8년 9월
평점 :
품절


만화매니아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것 이다. 일부 아마추어 동아리들 사이에선 이미 신화가 되어버린 여성 만화 팀 CLAMP를...

클램프는 여성4인조로 구성된 만화동아리 였다. 그런데 우연히 그것도 운명적으로 만화의 세계에 첫 발을 내딛으면서 신화가 되어버린 것이다. 여자답지않은 딱딱하면서도 어딘가 부드러운 그림체. 시대에 딸리지 않는 단정한 캐릭터와 말투들. 특히나 X를 비롯하여 성전, 사쿠라, 클램프 학원의 탐정들도 그림체나 전체적 분위기가 약간 옛날 것 이라는 느낌만 들뿐... 시간차이등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그것은 유행어. 그 유행어가 없기 때문이다. 그 만화 한 작품 자페를 하나의 시대로 정해놓고 각 캐릭터와 마을분위기를 통일성있게 배치하고, 질리지 않은 단어로 신경써서 대사를 적는등 그 치밀함과 노력이 엿보인다. 그리고 앞에서 말했듯 최근 순정만화와는 달리 화려하고 장대한 스케일과 복잡하면서도 판타지풍과 액션풍이 감도는 펜터치, 배경, Stouy, 콘티등이 돋보인다.

또 그 그림체와 색체 발전또한 예사롭지 않은데 '클램프 학원의 탐정들'때만해도 단색 일러스트를 주로 그리고 그림체도 대체적으로 강하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주었다. 그러나 이번 '사쿠라'작에서 부드러운 이미지와 세련됨. 그러나 단번에 클램프 그림이란걸 알수 있는 개성이 어딘가에 숨겨져 있다. 이처럼 클램프에는 선에는 장대한 스케일이 있고 성차별을 없애고 무한한 상상의 콘티를 펼쳐나가는 것 이다.

또한 여성답지만 여성답지않은 판타지 스토리는 역시 여성답지만 여성답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는 그 개개인이 많은 특성과 개인기를 가지고 있는데, 그 개개인의 재주만으로도 클램프는 대단한 팀이 될 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대유적 판타지 라이브러리 16
모리노 다쿠미.마쓰시로 모리히로 지음, 이만옥 옮김 / 들녘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쉽게도 이 책은 다른시리즈의 주 특징인 '전혀 생소하고 듣도 보지도 못했지만 진실인 내용'이 적은 편이다. 당연히 '진실인 내용'인 것은 사실이지만, 전혀 듣도 보도 못한 내용은 적은 듯 하다. 아니 약간은 억지적인 느낌도 없잖아 있다. 먼저 '이집트' 얘기를 꺼낼때 거의 주제로 다른 '저주의 왕'이나 '투탄카맨'또는 '지하 비실' 이야기는 이미 널리 알려졌고 여러 '호기심왕국' 같은 과학 프로그램. 또는 언론매체에서 자세하게 다뤄 그 신비성을 잃은지 오래이다. 지금은 '미추파추'의 비밀까지 밝혀지려하는 과학설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신전, 절 , 고원, 유적지. 그것도 거의 알려진 곳을 중심으로 주위 세분화된 것 설명까지 제세히... 이것은 '이미 알려진 곳들의 정리'라는 제목이 제일 잘 어울리는 듯하다.

하지만 역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아직 모르는 '비밀의 장소'도 많이 나와있는 편 이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지하 그리스 신전'(명칭이 자세히 기억 안남)에 대한 부분이다. 그 옛날 로마나 그리스때에는 건축물의 예술도가 뛰어나다고는 하지만 지하에 그런 곳을 만들어놓고 소수의 유망한 전사들과 귀족 또 비밀의 왕족을 가두어 놓고 생활을 하게 만들었다니.. 하지만 그것은 지하내부의 가스와 유독물질. 그리고 오래전부터 기생하던 기하학적인 독성 곤충들때문에 다 몰살되었고 기록으로써 그때의 상황을 짐작할 뿐이라고 한다. 정말 충격적이고도 신선한 내용이 아닐 수 없다. 나중에 이 지하신전에 대한 유적과 또, 그 기록들이 언론매체를 통해서 밝혀지면 정말 역사상 대형 기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에는 그런 유적들이 적어져 버렸는지... 하는 생각도 든다. 우리야 로마나 그리스 또는 이집트 처럼 대형 신전비스무리한 것들은 짓지 않았어도 자연에 가까운 조형미들로 가득찬 기와집이나 전통한복 방꾸밈등이 아주 유명해졌다고 하는데, 정작 그것을 보여줄 자료는 적다. 이 책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유적에 대해서 반성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