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보물섬, 제주도 ㅣ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동서남북 우리 땅 3
황선미 지음, 조에스더 그림 / 조선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제주에 깊이 새겨진 상처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에 슬펐고, 전해지는 신화가 그렇게 많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이 책의 저자 황선미 작가의 말입니다. 황선미 작가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작가죠. 황선미 작가의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제주 이야기는 어떨까? 기대를 하며 책을 읽어보았어요.

책을 읽으며 저 역시 아름다운 관광지로만 보였던 제주의 상처와 아픈 역사에 깜짝 놀랐어요.
몽고가 제주도를 백 년씩이나 지배했었고, 조선시대에는 귤과 전복을 진상받아야 하는데 제주 사람들이 육지로 나가면 진상품이 줄어드니 출륙금지령을 내려 제주 사람들이 육지로 나오는 것 자체를 금했다고 합니다. 섬 전체가 감옥 아닌 감옥이 되어 버린거에요. 근대에는 4·3 사건으로 수만 명이 죄 없이 학살을 당했어요.
이 슬픈 역사 이야기는 가파도의 아이들이 '제주교육문화축제'에 참여하기 위하여 계획한 프로젝트 <제주도의 진짜 보물을 찾아라!>의 일환으로 연이가 찾아낸 보물입니다.
연이는 제주의 역사를 보물이라고 보았고, 문성이는 제주의 자연환경을, 빛나는 제주에 전해지는 다양한 신화, 상훈이는 사람을 보물로 찾았습니다.
아이들이 보물을 찾아가는 여정을 통해 제주의 역사, 자연환경, 신화, 전통, 풍습을 고루 만나볼 수 있는것이 좋았어요. 딸아이와 올 봄에 제주도를 다녀왔는데 우도관광, 만장굴, 말타기 체험, 잠수함 타기, 박물관 두어곳을 들렸다 왔었거든요. 이 책을 읽고나니 아.. 정말 제대로 된 제주는 못보고 관광으로만 다녀왔었구나 생각이 들어요.

하늘에서 내려다 보며 찍은 성산일출봉은 너무 아름다워요. 작은 한라산이라 불리는 성산일출봉은 설문대할망의 빨래 바구니라잖아요.^^ 정말 움푹 패인것이 바구니 같기도 해요.
설문대할망은 빛나가 찾은 보물이야기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어요. 설문대할망 전설은 제주도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려 주는 탄생 신화인데요. '할망'은 할머니라는 말도 되지만, 여신을 뜻하기도 하고, 척박한 제주에서 살아남은 강한 제주 여인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 사전지식을 가지고 떠나면 여행이 훨씬 즐겁고 유익하다는걸 경험을 통해 알고 있어요. 황선미 작가의 <우리들의 보물섬, 제주도>를 읽었으니 이제 정말 제대로 된 제주 여행을 다시 계획해 보려고 해요. 책 속 부록에 제주도 지도와 작가가 추천한 체험지의 무료 입장권이 있으니 책 속에 등장하는 제주도 명소를 따라 다시 제주도를 꿈꿔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