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섯 사람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43
데이비드 맥키 글, 그림, 김중철 옮김 / 비룡소 / 1997년 6월
평점 :
초등학교 때 전쟁이
일어나는 꿈을 자주 꿨습니다.
하늘에는 폭격기가
날아다니고 저는 친구들과 학교 책상 아래에 숨는 꿈이었지요.
이승복 어린이
영상도 보고 반공교육도 많이 하던 때여서 그랬나 봅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막연하게 두려움만 조장하는 반공교육 때문에 더
그런 꿈을 꾼 게
아닌가 싶어요. 전쟁은 무서운 것이라고만
가르쳤지,
왜 일어나는 건지를
배운 기억이 없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는
엄마들의 전철을 밟게 해서는 안 되겠지요.
여기 전쟁을 아주
간명하게 보여주는 두 권의 그림책이 있습니다.
<여섯 사람>(데이비드 매키, 비룡소)과 <왜?>(니콜라이 포포프, 현암사)입니다.
우선
<여섯 사람>을 살펴보겠습니다.
옛날에 여섯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평화로이 일하면서 살 수 있는 땅을
찾았어요.
기름진 땅에서 잘
살게 되자 여섯 사람은 도둑이 와서 땅을 빼앗을까봐 걱정합니다.
그래서 땅을 지켜줄
군인 여섯 명을 뽑지요. 그런데 도둑은 오지 않고 군인들이 놀기만
하니
여섯 사람은 다시
걱정을 해요. 군인들이 싸우는 법을
잊어버릴까봐.
군인들의 힘을
써보고 싶던 그들은 주변 농장들을 빼앗아오라고 시킵니다.
더 많은 땅을
차지할수록 더 많은 군대가 필요하게 되고
그들을 피하러 강
건너로 도망가는 농부들까지 생겨납니다.
양쪽으로 나뉜
그들은 일상적으로 전쟁연습을 하게 되고 결국 전쟁에까지 이릅니다.
결국 양쪽 모두
여섯 사람들만 살아남아 그들은 다시 땅을 찾으러 떠납니다.
평화로이 일하면서
살 수 있는 땅을…….
인간의 욕심이
어떻게 전쟁으로 이어지는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동화입니다.
땅을 가진 자와
군인, 농민 등으로 계급이 생기면서 수평적인 사회가
수직적인 사회로
변화해간 과정에서
전쟁이 일어났다는 전쟁을 기원을 밝힙니다.
전쟁은 또 다른
전쟁을 낳는다는 세상의 진리도 일깨워주고요.
색깔을 전혀 칠하지
않은 채 선으로만 그려진 그림도 눈여겨볼만합니다.
별 특색을 느낄 수
없는 여섯 사람은 모두 남성입니다.
계급사회가 된 후
사회의 윗자리를 차지해온 남성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눈과
입, 수염 외엔 여섯 사람보다 더 차이점을 찾을
수 없는 군인들에게서는
획일화된 군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어떠한 인간의
감정도 느껴지지 않는 모두가 죽어간 싸움 장면은 섬뜩하게 다가옵니다.
어깨를 축 늘어뜨린
채 여섯 사람이 다시 땅을 찾아 떠나는 마지막 장면은
인간의 어리석음으로
전쟁의 파국을 되풀이하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하기까지
합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언제든 전쟁이 일어날 수 있는 현실을 물려주고 있다는
부모로서의 자괴감이
밀려듭니다.
<여섯 사람>은 한 번에 쓱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몇 쪽
안 되는 책인데
함축하고 있는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초등학교
1,2학년이 이해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그럴 때 어린
친구들에게는 <왜?>를 보여주세요.
글자 하나 없이
그림으로만 된 그림책입니다.
우산을 든 쥐와
꽃을 든 개구리가 주인공이에요.
꽃이 탐이 난 쥐가
개구리에게 달려들어 꽃을 빼앗습니다.
그러자 개구리의
친구들이 나타나 힘으로 쥐의 우산을 빼앗아 꽃들을 담습니다.
그러자 쥐는 총으로
응수해요. 곧 싸움은 쥐 군대 대 개구리 군대의
전쟁으로까지 커지죠.
서로 마구 총을
쏘아대는 사이 푸르렀던 꽃밭은 잿빛의 황무지로 변해버리고 말아요.
마지막엔 시들어버린
꽃을 가진 쥐와 다 찢어진 우산을 든 개구리 한 마리만이
그 황무지에
남겨졌답니다.
보통
‘폭력’이라고 하면 무시무시한 걸로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그 처음은
아주 작은 욕심에서 비롯된다는 걸 일깨워주는 책입니다.
초록의 풀밭에
피어난 꽃을 발로 잡고 있는 개구리가 그려진 표지그림은
파스텔로 그린 듯
약간 환상적인 느낌입니다.
이런 평화는 아직
우리에게 오지 않았다고 하는 것도 같고
우리가 붙잡고 있는
평화가 이처럼 불안하다는 걸 말하고 있는 것도 같습니다.
아이들이 평화로운
세상에서 살 수 있도록 우리 어른들이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걸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두 책을 보고 나니
어깨가
무거워지네요.
여섯사람
- 작가
- 데이비드 매키
- 출판
- 비룡소
- 발매
- 1997.06.15
리뷰보기
왜?
- 작가
- 니콜라이 포포프
- 출판
- 현암사
- 발매
- 1997.01.31
리뷰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