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녀론
김완섭 지음 / 천마 / 1995년 11월
평점 :
절판


도서관의 여성학 코너에 희한한 제목의 책이 있기에 집어들었다. '창녀론'이라. 대한민국의 모든 여자는 창녀이다 - 라는, 듣자마자 화가 치솟는 주장을 펴고 있는 이 책은 여러 면에서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 책이다.

남자는 여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양육에 필요한 재화를 대주는 것으로 그 여자를 '산다'. 위자료란 무엇인가? 여태까지의 성생활에 대한 화대이다. 자본주의의 성 상품화가 문제라고? 아니, 그것은 오히려 여성 해방의 물꼬를 터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문제는 바로 가부장제 - 여태까지의 가족 제도이다. 남자와 여자가 동등한 주체로서 함께 생활한다면 그것은 동거가 되야할 것이다. 회사에서 예쁜 여자를 뽑는 것이 잘못된 것인가? 여자들 어차피 남자 잘 만나서 시집 갈 궁리나 하지 회사에 도움 되는 게 뭐가 있는가? 그러니 회사 입장에선 꽃값 지불하는 셈 치고 분위기나 살려볼까 하는 마음으로 예쁜 여자들을 뽑는 것이 뭐 그리 잘못된 일인가. 예쁜 것도 능력이니 그 능력이 없다면 다른 부분을 계발하는 것이 현명한 것이다 - 등등.

지금의 나로서는 6년전 발행된 이 책의 엄청난 주장들을 다 소화시키기에도 벅차 이것이 옳다 그르다 말하기가 힘들다. 어떤 부분에서는 손을 들어주고 싶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책을 집어던지고 싶다. 논리야 어찌 됐건간에 꽃값 지불 운운하는 부분에서는 화가 났다. 이 사람은 여자와 남자를 따지기 이전에 약한 인간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것이 아닐까. 어쩌면 매우 현실적인 사람인지도 모르겠다. 여자들에게 '현실을 직시하라. 여성의 남자의 도움없이 아이를 낳고 생활하기 위해선 앞으로도 20년 정도는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 동안은 남자들의 성욕을 충족시켜 주는 대가로 살아가야 한다. 당분간은 참아야 한다'라고 요구하는 사람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에서 살다 오셨나요
이보영 지음 / 다락원 / 1998년 9월
평점 :
절판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화되어 있는 영어 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주르륵 늘어놓은 책이다.

'영어는 조기 교육이 중요하다.' - 저자의 어머니는 집에서는 간단한 말을 영어로 하시고, 아이에게 새서미 스트리트 같은 걸 보여주시며 영어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셨다고 한다.

'말하는 걸 두려워하지 말라.' - 중3때 저자는 전화번호부에서 외국 이름을 찾아 그들에게 전화를 했다고 한다. 그런 식으로 '거기 아무개 있습니까?','잘못 걸었나봐요. 죄송합니다.'등의 표현을 영어로 하며 그들이 자신의 말을 다 알아 듣는 걸 보고 기쁨을 느꼈다고 한다. 외국인에게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대담한 학습이 가능했을 것이다.

다른 영어 고수들과는 다르게 교과서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 영어는 주입식 교육이다, 실생활에서 쓰이지 않는 말만 나와있다, 하면서 교과서 영어의 비실용성을 비판한다. 하지만 저자는 기본 틀을 익히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면서 자신의 영어실력은 교과서로 이루어졌다고 이야기한다.

내용은 비교적 평이했다. 결국 누구의 말을 듣고, 어떤 방법으로 영어를 공부하느냐는 자신의 선택에 따른 것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곱가지 여성 콤플렉스
여성을 위한 모임 / 현암사 / 1992년 5월
평점 :
절판


읽으면서 책에서 인용된 사례가 약간 '오버'됐다는 느낌을 받아서 뒷장을 펴보았더니 십년쯤 전에 발행된 책이었다. 십년이라는 꽤 짧다고 할 수 있는 세월동안 이 사례들이 '구닥다리'가 됐다는 것은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이제는 이런 극심한 차별들은 없을 것이다.(라고 믿고 싶다.)

여성과 남성을 따지기 전에 같은 인간으로서 서로를 바라보고 이해해 준다면 여성 차별이고 남성 차별이고 없어질 테지만 이게 쉬운 일이 아니다. 여러가지 해결 방안이 있지만 이것은 기본적으로 사회 분위기가 달라지지 않고서야 이루어지기 힘든 일이다. 다행히도 이 애매모호한 '사회 분위기'라는 것이 점점 긍정적인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남성이다, 여성이다라는 틀에 갇혀 규정지어지고 싶지는 않다, 남자를 무조건적인 적으로 간주하고 싶지도 않다. 원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정당한 대접을 받으며 컴플렉스에 발 묶이지 않고 떳떳이 살아가는 일이다. 이것이 여성에게는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 망가져도 고!
김지룡 지음 / 글로리아출판사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결국 사람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행복한 삶'일텐데, 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사람들이 달려가는 길은 험난하다. 초중고 12년을 SKY대 입학을 위해 보내고, 입학 한 후에는 좋은 회사에 취직해 높은 연봉을 받기 위해 애를 쓴다. 소위 엘리트 코스를 밟기 위해 그렇게 노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김지룡의 생각은 다르다. '명문대? 못 들어가면 어때, 명문대 나오고도 현실 감각이 없어서 취업 못하는 사람 수두룩한데. 돈? 조금 벌면 어때. 조금 벌고 조금 쓰고 남는 시간 재밌게 노는게 훨씬 이득인데.' 이런 그의 평소 지론대로, 그는 소위 말하는 좋은 직장을 나와버리고 '백수이면서도 뭔가 그럴듯하게 보이기에는 학생이 최고이기 때문에' 일본으로 유학을 간다. 그리고 '제 돈 들이면서 곧 휴지조각이 되어 버릴 대학원 졸업장에 목매는건 바보같은 짓이기에' 장학금으로 석박사 과정을 마친다.

김지룡의 말대로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이 행복을 느끼는 것 아니겠는가. 남들이야 어떻게 보던 내가 빙긋 웃을 수 있는 삶, 내가 선택하며 내가 꾸려나가는 소박한 삶이 가장 중요할텐데 우리는 참 많은 허울을 뒤집어 쓰고 사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노우 드롭 1
최경아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고등학생들의 '격렬한' 사랑 이야기가 몇 억 광년쯤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현실감 없게 느껴져 외면하게 되다가도, 흔하고 흔한 학원물보다야 낫지 않느냐는 마음에 다시 집어들게 된다. 어쩌면 작가의 고민이랄까, 그런 것도 이해가 간다. 요즘 인기 있는 것은 중고등 학생들의 예쁜 사랑 이야기니 그런 것을 그릴 수 밖에 없는데, 또 그런 것은 너무 널렸다. 그런 고뇌 끝에 나온 것이 드라마 '모래 시계'를 약간 섞은 로미오와 줄리엣 아니겠는가.

장관의 예쁜 외동딸, 그녀는 초등학교 때 아버지의 정치적 문제로 납치를 당해 성폭행을 당했다는 아픈 과거가 있다. 그런 그녀의 마음을 잡은 것이 바로 꽃미남이자 모델일을 하고 있는 해기 - 그러나 그의 형은 바로 그녀를 납치했던 일당 중 한 명이 아닌가! 드라마틱하고 비극적이지만 몰입하지 않아도 되는 '예쁜 만화'를 보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