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 류시화의 하이쿠 읽기
류시화 지음 / 연금술사 / 2014년 6월
평점 :
제목이 참 멋지다.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니..
이 책을 읽게 된건 류시화 시인에 대한 특별한 애정이 계기가 되었다.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삶이 나에게 가르쳐 준 것들,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 이란 작품으로
그와 소통하는 즐거움에 매료되었기에 류시화 시인의 신간을 읽는것이 참 설레고 즐거웠다.
그런데 내가 만난 하이쿠는 뭐랄까..
마치 선사들의 선문답 같은 느낌?
풀이를 읽지 않으면 도무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갸우뚱한 글..
비록 류시화님의 풀이를 보면서 이해를 하긴 했지만 이 책에 담긴 하이쿠들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말장난이 아닌
진실한 경험에서 우러 나온 언어의 진수란것을 책장을 넘길수록 그 깊은 의미를 꼭꼭 씹는것이
참으로 즐거웠다.
특히 '보름달 뜬 밤 돌 위에 나가 우는 귀뚜라미'
지요니의 하이쿠를 읽으면서는 논어 학이편의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이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라는 구절이 떠올랐다.
그 벗은 그냥 벗이아닌, 함께 글을 짓고 즐길수 있는 벗이고, 우리가 듣기에는 선사들의 선문답같지만
그 깊은 언어의 진수를 즐기고 나눌줄 아는 벗이 아닐까.
소쩍새가 부르지만 똥 누느라 나갈 수 없다.. 는 소세키의 하이쿠는 참으로 장난스럽게 느껴졌지만
그의 다른 하이쿠들을 읽다보면 인간의 언어에 걸리지 않고, 무한한 우주의 깊이 속에서 소통하는 면면에서
저절로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게 된다.
류시화님의 인도로
절제된 언어 하이쿠의 매력에 빠져들 수 있는 멋진 작품집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