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왕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35
엘리자베스 레어드 지음, 김민영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작년부터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한답시고 에티오피아산 공정무역 원두커피를 구매해서 마시고 있는데, 공교롭게도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이 바로 에티오피아였다.

지금 분쟁중에 있는 수단과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인 소말리아 사이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많이 불안정한 나라. 구조의 손길이 필요한 어린이가 많이 사는 나라. 나는 그 나라를 그렇게 기억하고 있다..

그 나라 한가운데에 아디스 아바바라는 지역에는 마모 라는 소년이 살고 있다.

엄마가 죽은지 일주일이 지나던 어느날 왠 낯선 남자가 방문하여 , 자신은 마모의 엄마 즉 마모의 외삼촌이라면서 좋은곳에 취직을 시켜주겠다고 마모를 데려간다.

그렇게 인신매매를 당한채 농가에 팔려 노동착취를 당하던 마모는 결국 그곳을 도망쳐 나온다.

그리고는 부잣집 아들이지만 공부도 못하고 운동도 못해서 아빠에게 늘 구박을 당하다가, 유일하게 의지했던 엄마가 심장병 수술을 위해 영국으로 떠나던 그날 가출을 한 다니 라는 아이를 만나게 된다.

둘은 갱단에 들어갔고, 갱단의 룰을 따라 구걸을 하고 쓰레기통을 뒤져서 먹다버린 음식물로 허기를 채우며 하루하루를 보내는데..

이야기는 길위에 선 아이들이 얼마나 비참한 생활을 감내하며 살아가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그 고생스러운 생활속에서 속깊은 아이로 내면이 성장해가는 모습을 그려가고 있다.

아마도 우리나라로 치면 1960년대 정도의 사회모습이 아닐까 생각된다.

아이들에겐 세상에서 가장 큰 바람막이가 엄마라고 하는데.. 그런 바람막이를 잃고 길위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아이들에게는 국가가 바람막이가 되주어야 한다.

그게 국가와 국민과 정치가 있는 이유가 될 것이다.

에티오피아가 그려내는 모습들이 참으로 아슬아슬하고 안타까운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