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절대 모르는 10대 속마음 - 사춘기 딸이 묻고 심리학자 엄마가 답하다
김현지.이우경 지음 / 지식너머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집도 그 말로만 듣던 사춘기 자녀와의 전쟁이 시작되었어요.

아마도 예전에는 그저 잘 수긍하던 말에 대해서, 처음으로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내면서 대하던 그때가 사춘기를 알리는 신호탄이 아니었나 생각되네요.

그런 딸의 모습을 보면서 처음에는 당혹스러우면서도 강도높게 대응을 했었는데, 그러면 그럴수록 나보다 더 쎄게 나오는 아이의 행동에 이렇게 대응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요즘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다룬 여러 책들을 찾아 읽기 시작했는데요.. 이번에 읽은책은 지금까지 읽은책과 많이 달랐습니다.

대부분의 사춘기 자녀를 다루는 책들은 이론적이고, 지시적여서.. 그렇구나, 그렇구나 하면서 넘기기 일쑤였는데,

사춘기 딸아이가 직접 일상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심리학자인 엄마가 그 시기에 대한 특징을 설명해주니 많이 도움이 도움이 되었어요.

특히 청소년들이 겪는 가장 큰 스트레스의 요인이기도 한 학업과 진로, 또래와의 관계, 가족안에서의 청소년, 일탈에 관해

저도 심리학을 전공하면서 청소년관련 과목을통해 이론적으로만 접해보았는데 실제로 고2학생이 실제 사례담을 올려주니

딸을 키우는데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원론적인 얘기를 다룬 책들과는 차별되고, 이건 사춘기 딸과의 지옥같은 전쟁속에서 나온 살아있는 경전이라고 말하고싶습니다.

대부분의 글들이 와닿았지만 몇가지 밑줄을 그으면서 보았던 부분이 있다면, 아이의 습관을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로 하여금 바램과 소망만 가지고 시작하게 하기 보다는 그 의도를 생각하게 하라는 것이었고요

그리고 아이의 느낌은 주관적이므로 절대 느낌 자체가 틀렸다고 이야기 해서는 안된다는 부분이 많이 와닿았습니다.

늘 알면서도 실천이 되어지지 않는 부분이었는데,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공부를 해봐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그리고 2차정서 (hard emotion) 안에있는 1차정서 (soft emotion)에 촛점을 두고, 겉으로 들어난 신경질적인 모습 안에 감추어진 아이의 불안과 두려움을 잘 읽어주어야겠다는 감상을 얻을수 있었습니다.

다음학기에 대학원 시험을 봐야하는데, 상담심리학 교수님이신 저자의 책을 읽고나니 내가 전공하고 있는 상담심리학에서 청소년이해론 과목을 다시한번 재밌게 복습하고 싶은 열의가 생깁니다.

보통 책을 읽고나면 책장에다가 꽂는데, 이책은 책상위에 전공서적 옆에 꽂아두었네요. 아무래도 자주 찾아 읽게될것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