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사회 -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단 하루라도 살 수 있을까
수전 프라인켈 지음, 김승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후대의 역사가들은 지금 시대를 석기,청동기,철기에 이은 플라스틱 사회라고 규정할 것이다

지금 우리는 단 하루도 플라스틱 없이 살 수 없고 태어나서 만지며 놀게 된 장난감부터 죽음을 앞둔 노인의 손에 쥐어진 지팡이까지 그야말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플라스틱에서 시작해 플라스틱으로 생을 마감하는 시대에 사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이 책의 출간은 의미하는 바가 크고 플라스틱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가 꼭 한번쯤 읽어 봐야 할 책이다

 

서문에서 작가는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들에 대해 목록을 작성한 후에 플라스틱이 아닌 것에 대하여 목록을 작성하는데 그것의 사용비율이 2대1이였다고 소개하며 재미있는 것은 플라스틱이 사용된 물건들은 쉽게 눈을 돌리면 눈에 띠는 반면 천연 물질은 세밀하게 관찰하고 생각 해 봐야 한다는 점이다 그만큼 우리는 플라스틱 세상에 길들여져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 들어가면 플라스틱의 놀라운 세계 (머리빗 : 플라스틱이 가져온 소비의 대중화) 평범한 사람을 위한 왕좌 (의자 : 플라스틱 미학) 플라스틱빌에서 놀기 (프리스비 원반 : 플라스틱의 글로벌 생산 시스템) 이제 인간도 플라스틱 (링거백 : 플라스틱과 건강과의 관계) 플라스틱 바다 ( 라이터 : 플라스틱이 야기한 버리는 문화의 문제) 비닐봉지 전쟁 (비닐봉지 : 플라스틱을 둘러싼 정치적 논쟁) 요람에서 요람으로 (페트병 : 플라스틱 재활용의 성과와 한계) 녹색의 의미 (신용카드 : 차세대 친환경 플라스틱과 관련된 기대와 우려) 까지 8가지로 나누어 편리함으로 인해 소비가 시작된 것으로부터 가격 경쟁력, 정치적 논쟁과 건강까지 플라스틱 물건을 한 가지 상징적으로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우리의 삶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것을 쉬우면서도 심도 있게 관찰한 것을 차근차근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인상적 이였던 것은 미국 아동의료센터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는 에이미라는 여자 아기의 예를 들어 투명한 인큐베이터 안에 수많은 튜브로 연결되어 거의 모든 것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에 둘러싸인 모습을 소개 하며 우리가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간 병원이야 말로 플라스틱 천국이라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환기 시킨다

정교한 의료 영상 장치에서 시작하여 환자용 변기, 환자용 밴드, 일회용 장갑, 일회용 주사기 등은 물론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한 링거백과 혈액과 직접 맞닿은 튜브 또한 플라스틱이 사용되니 그야말로 플라스틱 병원에서 플라스틱에 생명을 위탁한 것이나 다름없고 플라스틱이 우리의 생명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위험에 노출된 문제가 해결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작가는 그런 위험에 대해 경고를 하고 나선 평범한 사람들을 소개하고 그 위험에 대해 유해성 없는 의료기관이 서서히 늘어 가고 있는 점을 소개 한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 화학협회 등 자본이 집중되어 있고 그들의 이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제품들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을 자본을 동원하여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것을 보면 결국 이러한 문제도 인식 이전에 경제적 문제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안타까움이 전해 졌다

 

책을 마무리하며 책을 읽으며 소개되었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염화비닐,폴리스티렌,폴리우레텐..등등 본문에 등장했던 플라스틱에 대해서 자세한 소개를 하는 세심함도 눈에 띄었다

 

그러나 책을 다 읽고 나자 플라스틱의 존재가 우리의 생활과 환경에 정말 유해한가? 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이 다시 제기되었고 과연 플라스틱이 사라지고 그 대체재로 재활용이 불가능한 천연재료를 사용하게 된다면 더 많은 자연이 파괴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책을 덮으며 그런 문제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루어 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남았지만 플라스틱 시대로 기록될 현대를 사는 우리가 꼭 한 번 읽어 봐야 할 소중한 책으로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