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경계
조정현 지음 / 도모북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수대비 즉 연산군의 할머니의 고모 한 확의 두 누이 한규란 한계란 자매가 명나라에 굴욕적으로 후궁으로 바쳐진 이야기이고 그 두 자매가 어떻게 황제에게 사랑을 받고 조선에 영향을 끼친 이야기이다

말하자면 우리가 드라마나 구중궁궐을 다룬 이야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에다가 그 권력의 최상위에 있는 인물을 조선의 왕이 아니라 명나라 왕으로 바꾸고 그 후궁으로 끌려가는 인물을 양반자제로 바꾸어 쓴 이야기이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과는 멀어 보이지만 작가는 궁녀로 끌려갈 당시 힘없고 이름만 양반인 몰락한 집안 이였지만 나중에 그 두 후궁의 활약이 조선과 집안의 번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말하고 있다

나는 역사소설 특히 궁궐에서 일어났던 이야기를 쓰는 작가는 상상력의 빈곤함을 스스로 입증하는 것이라 생각 한다 소설을 쓰는 작가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 작가란 상상력을 바탕으로 시대를 만들고 배경을 만들어 그와 어울리는 인물을 창조해 내는 일을 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 아닌가? 상상력이 얼마나 빈곤하고 오죽 쓸게 없었으면 부끄럽기 짝이 없는 조선 시대 왕실이야기 게다가 명나라 왕실로 끌려간 후궁이야기를 소설로 쓸 생각을 했을까?하는 측은함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역시나 읽는 내내 작가의 빈곤한 상상력이 느껴졌고 그 빈곤함을 매꾸기 위한 수단으로 대부분의 작가가 그러하듯 왕조실록 혹은 드라마 대사에서나 쓰는 듯 알 듯 모를 듯한 궁궐에서 사용된 물건이나 용어들을 적절히 섞어 가며 자신이 얼마나 열심히 자료조사를 했는지 과시하고 있다

이문열 같은 작자도 먹고 살기 위한 보험 형식으로 삼국지 같은 책을 쓰긴 하지만 왜 작가들은 다들 역사 소설을 쓸까? 특히 민중과는 거리가 먼 왕실이야기 따위를 쓰는 것은 드라마 속에서 왜곡된 역사를 막장드라마로 인식 시키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대부분의 작가들이 첫 작품으로는 역사소설을 선택하지 않고 일단 등단을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역사 소설을 출간하는 것을 보면 작가로서의 자질을 알 수 있다 쓸게 없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선택한 역사 속 이야기가 정말 독특하고 독자에게 상상력의 지평을 넓게 제공할 수 있는 작품이라면 첫 작품으로 선택해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 텐데 말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그 나마 소설적으로 다가 왔던 이야기는 명나라 상인의 딸이자 같은 후궁 이였던 여미미 와의 관계에서 펼쳐 질 뻔 했던 동성애 이야기이다 이야기를 소재로 소설로 썼으면 더 재미난 소설이 탄생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미미가 자신의 외로움을 달래려고 구애를 하다가 내쳐지는 장면에서 미미는 ‘ 흥! 나보다 직첩이 높다고 훈계를 하려 드느냐? 짐승도 하지 않는 짓이라니, 내가 짐승만도 못하다는 욕일 테지? 하지만 우리가 짐승보다 낫다고 누가 그러든? 사랑받지 못하는 후궁의 처소를 냉궁 이라고 하지 냉궁의 여인들은 황상이 타는 말보다도 못한 존재야 우리가 황상의 애마보다 더 손길을 받든? 어릴 적 가지고 놀던 물건도 보면 쓰다듬기는 하겠지 우리는 장난감보다 못한 처지야 황상의 모후가 고려 여인이라는 말이 사실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황상이 너희를 아끼는 것은 조선에서 온 귀한 물건이라서야. 황상이 보물 다루듯 하지만, 실제로는 장난감인 우리와 다를 것이 없는 처지란다 알겠니?...’ 라고 말하는 대목이 있는데 이 대사가 이 소설의 전부라고 봐도 무방하게 다가왔고 미미가 소설 속에서 가장 매력있는 인물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