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고요한 노을이…
보리스 바실리예프 지음, 김준수 옮김 / 마마미소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전쟁과 여성이 이 책의 주된 소재이다

남성성이 극단적으로 표출되는 집단적 폭력 즉 전쟁 상황을 맞닥뜨린 여성의 이야기이다

대게 전쟁과 관련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의 주된 모습은 전장에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거나 전장에서 피어난 사랑 혹은 가족 특히 전장에 아들을 떠나보낸 후 생사조차 알 지 못하고 그리워하는 모성애 등을 다루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 작품은 전쟁의 당사자로서 병사로서 여성을 선택하여 이야기를 하는 점이 관심을 끌기 충분했고 특별했다

주요 인물로는 특무상사 바스꼬프, 농장 관리원의 딸 리자 프리츠끼나, 의사 집안 모스크바대학생 소냐 구르비치, 직업기술학교를 다니는 고아원 출신 갈랴 체뜨베르따끄, 러시아 장군의 딸 제냐 꼬멜고바 인데 간단한 인물 소개만 봐도 매우 흥미롭다 또 이들의 상관이자 책임자인 특무상사 바스꼬프와의 에피소드들은 생사를 알 수 없는 전장에서 웃음을 유발하여 슬픔속이지만 책을 놓을 수 없는 재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 개성 있는 인물의 배열과 그 인물들이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극한인 전쟁의 상황에서 펼쳐지는 소소한 일상과 그 인물들의 내면 이야기는 정말이지 읽는 내내 머릿속에서 생생하게 영화를 보듯 펼쳐졌고 책을 놓기까지 그 인물들의 내가 창을 통해 실제로 들여 보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느꼈다

책의 제목처럼 하루가 생을 다하며 남기는 노을과 같이 이 아름답고 젊은 여인들이 거대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로 붉게 타오르다가 결국은 고요하게 생을 마감할 수 밖에 없는 전쟁이란 상황이 너무나 안타깝고 슬펐다

작가는 그런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며 인간이 인간을 사살하는 전쟁의 위험과 몇몇 정치적 지도자의 신념에 의해 자행되는 끔찍한 전쟁의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읽어 보고픈 소설이였고 오래 전에 영화화된 원작이라는 것을 알고 나서 그 영화도 한번 찾아서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작가의 장치였겠지만 한 가지 아쉬웠던 점으로 그렇지 않아도 잘 눈에 들어오지 않는 러시아 이름들인데 별명까지 붙여 놓는 바람에 책을 읽는 초반 인물들이 너무 복잡하게 널려 있는 느낌을 가졌는데 이것은 엮자나 출판사가 작가의 의도를 크게 달리 해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 독자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별명으로 바꾸어 놓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그런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번역은 정말이지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 끔찍한 전쟁 속에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한 원작의 느낌을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읽는 내내 가질 수 있었다

때론 죽음을 표현해 내는 장면이 너무나 사실적이고 끔찍했지만 그런 끔찍한 묘사와 대비되는 여성성의 아름다움과 특히 자연의 아름다움, 하루에도 수없이 변하는 날씨와 하늘, 그 시간대 따라 변하는 인간의 느낌과 감정을 너무나 공감이 가도록 번역이 되어 있어서 책을 읽는 가장 큰 재미라고 볼 수 있는 상상력의 깊이와 폭을 깊고 넓게 제공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