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이제 걱정하지 마 - 엄마가 쓴 어린이를 위한 심리 치료 편지
강선영 지음 / 생각을담는어린이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지금의 대한민국은 아이들이 살아가기에 너무 무서운 사회가 되었습니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사회에서 충분히 보호받으며 있는그대로의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자존감있게 자라야할 아이들이 여러가지 위기속에서 아슬아슬하게 생명의 꽃을 피우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하루가 다르게 터져나오는 왕따, 성적비관으로 인한자살, 폭력과 성폭행 소식을 들으며 숨이 막힐지경입니다.

또 그것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제시되는 사회안전망 확충이나 처벌수위 강화에 대한 여론역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될수 없다는걸 경험으로 체득했음에도 불구하고 더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것도 참 안타깝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또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우리는 몸이 아프면 증상에 따라 알맞는 병원을 찾고 거기에 맞는 처방을 받아 병을 치료하는것과는 달리 마음이 아픈것은 쉽게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맞은때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결국 병을 키우고 방치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울증이나 폭력성으로 나타나며 자신과 타인을 괴롭히는 원인이 되곤하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있는 왕따, 자해, 자살, 은둔형외톨이, 폭력,강간 을 저지르는 사람들역시 모두 '정신'에 병이든, 마음이 아픈사람들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해답은 참 간단했습니다.

바로 '인정' 하는것이 었습니다.

어떤 문제가 생겼을때 일단 일어난것에 대해 인정해주는 것입니다.

 

사실 모든문제의 99%는 마음의 상처와 그속에 내재된 불안이라는 감정으로 인해 생긴다고 하죠.

무엇이 나를 그렇게 화나게 하는지, 상처를 주는지, 불안하게 하는지 그 마음을 알고 인정하는 순간, 신기하게 상대방의 마음이 보인다고 합니다.

감정이 서투른 아이들에겐 특히나 곁에서 마음을 읽어주고 다독여주는것이 중요하겠고, 그러면서 결국 스스로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인정하고 수용하는 힘을 얻을수있도록 도와주는것이 가장 좋은 치료란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책을 읽는 내내 저의 어린시절과 지금의 제 딸아이의 모습을 많이 떠올려보았습니다.

그러면서 그시절 내가 왜그리도 짜증이 많았고 화가 많이 났었는지가 이해되어 지면서, 지금의 딸아이를 조금더 이해할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부모들이 아이들의 미운행동 거슬리는 행동을 보여지는 그 모습대로만 해석하지말고

'지금 제가 마음이 많이 아파요' 라는 sos 라는 신호로 받아들일수 있는 눈이 열린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아이들이 마음의 상처를 어설프게 봉합한채로 방향모를 분노를 껴안고 성장하도록 방치해두진 않겠지요.

 

아이들을 위한 책이라지만, 엄마가 꼭 읽어야 하는 아주 소중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