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시도록 7
윤지운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안과 석린은 언제쯤 이런저런 생각안 하고도 잘 지낼 수 있는 행복한 관계가 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부시도록 7
윤지운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안과 석린의 알콩달콩한 러브모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두 사람의 데이트 하는 장면에 페이지가 많이 할애되어 있네요. 그러나 만화를 읽다보면 이 커플이 커플인지 남매인지 영 가닥이 안 잡힙니다. 다른 순정만화에서 7권 정도면 삼각관계가 되기도 하고, 한 번 대판 싸우기도 합니다만 사귄지 얼마 안 되서 그럴까요? 하륜이의 말을 빌리자면 '영화볼 때는 영화 얘기하고, 밥 먹으면 밥 얘기하는 남매' 같습니다. 


 남매 같은 이 커플의 데이트는 꽤나 진지합니다. 미술관에서 '와~ 예쁘다'로 끝나지 않습니다. 희안이 폴 세잔의 '사과와 오렌지'에 대한 상식을 이야기하고, 석린은 감상을 이야기합니다. 근데 그 감상이 꽤 끌립니다. 


*석린의 감상입니다. (만화를 아직 읽지 않으신 분은 그림과 함께 감상하세요!

 만화는 그림과 함께 감상해야 가장 재미있습니다!!) 

접힌 부분 펼치기 ▼

 

 세잔이 좋은 건, 사과에는 표정이 없으니까.

 사과 자체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점이 좋아요.

 이브의 사과라서 원죄를 상징하는 것도 아니고 뉴턴의 사과라서 근대과학문명을 상징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먹는 사과나 오렌지.

 (중략) 사과가 사과만으로 그림을 가능하게 한다면 인간도 인간의 형태만으로 충분히 그림이 되고 예술이 될 수 있겠죠. 예쁜 소녀, 신화적 인물, 구구절절한 스토리를 가진 지친 사람이 아니라도. 사과는 사과인 것만으로 좋고, 사람은 사람인 것만으로 충분하고. 나는, 살아서 내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가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생각도 들어요.

(후략)

 

 

펼친 부분 접기 ▲


 현대사회는 무엇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그 노력 속에 존재하는 스토리가 중요해지는 시기입니다. 스펙보다 스토리가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내용의 책도 언뜻 본 것 같으니 틀리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살다가도 지치는 이유이기도 하죠. 아무 의미 없이 그저 사과와 오렌지로서 감동을 주는 그림이라서, 그림을 보면 그저 자기가 살아 있다는 이유 하나로 가치있게 느껴져서 좋다는 석린과 그 내용에 동의하는 희안도 그렇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현실을 사는 사람들처럼요. 지금까지 해온 일이 문득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순간, 그 순간에는 모두 사과이고 오렌지이고 싶어하지 않을까요?


*위 글은 제 블로그 http://sady_46.blog.me/140173351876 에 올린 글과 동일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녀를 위한 밤 데이브 거니 시리즈 2
존 버든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주로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소설을 읽던 저에게 영미권 소설은 썩 와닿지 않았습니다만, 우연한 기회로 이 작가의 '658, 우연히'를 읽고 난 뒤로는 영미권 소설도 괜찮다고 느끼는 중입니다. 그래봤자 이 작가의 소설 2편에 다른 영미권 소설 몇 권을 읽었을 뿐이니 많이 읽은 것도 아니지만요.


 '658 우연히'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시간 제한'이겠군요. 데이브 거니가 자신의 아내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형사 본능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절충안이 바로 '시간 제한'입니다. 데이브 거니가 과연 그 시간 안에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지 없는지 생각하며 읽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뭐, 읽다보면 내용에 정신이 팔려 그 수많은 페이지가 정말 그 시간인지는 추정해내기 어렵습니다. 그저 사실적으로 며칠 남았다고 날리는 대사나 생각을 보고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는 정도일 뿐입니다.


 전 작품에서는 가해자의 심리표현에 공을 들였다면, 이 작품에서는 데이브 거니의 심리 표현에 공을 들인 느낌입니다. 중간 중간 아내와의 관계도 자주 등장하고, 특정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데이브 거니의 마음 상태를 묘사하는 부분이 많아졌습니다. 추리하는 맛은 여전히 살아있지만, 뜬금없이 삽입되는 묘사로 인해 물음표가 연달아 생기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 물음표는 모든 사건이 해결된 후 깔끔하게 사라졌습니다. 뜬금없이 삽입된 묘사가 아니었고, 시간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는지도 명백하게 밝혀집니다. (관련 내용은 이 소설의 반전이기에 생략합니다. 추리소설과 미스테리는 반전이 맛이잖아요~ ㅎㅎ) 이 부분을 읽고 나니 사건이 해결된 기간은 데이브 거니가 제안한 '제한된 시간'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건을 다 해결한 데이브 거니가 몽롱한 정신으로 되짚었을 때 느낀 기간, 그것이 '제한된 시간' 아닐까요?


*위 내용은 제 블로그 http://sady_46.blog.me/140170367833 에 올린 내용과 동일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58, 우연히 데이브 거니 시리즈 1
존 버든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팔로우 하는 트위터 계정 중에는 소녀가 앉아서 책을 읽는 그림을 프로필 사진으로 쓰는 분이 있다. 그리고 그 계정에는 비밀 암호처럼 '658'이 들어가 있었다. 그 분을 팔로우한 계기가 도서이기는 했으나 이 책 때문은 아니었다. 일본 작가 미나토 가나에의 영향이 더 컸기 때문에 그 외의 글들은 그냥 넘겼고 의미를 궁금해했다. 그런데 무심코 본 트윗 안에 그 답이 있더라. '658, 우연히'라는 책 제목이었다. 물론, 그 계정이 이 도서제목에서 온 것인지 전혀 상관없는 다른 의미인지는 모르지만. 그런 사소한 이유로 이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모든 추리소설이 그러하듯 '범인이 누구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마지막에 나오는 반전의 짜릿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으니 직접 읽고 느껴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이 책을 다 읽은 사람은 분명 재미있다. 짜릿하다. 스릴이 가득하다. 이런 표현으로 이 소설의 감상 키워드를 쓰지 않을까 싶다.  추리 소설이라는 장르이기에 당연할지도 모르지만, 난 '외로움'이 크게 다가왔다.


 이 소설의 범인은 결국 극한 외로움 속에 살았던 인물이다. 물론, 주변에서 봤을 때 다 성장한 뒤의 그는 외로운 인물이 아니다. 사회적으로도 성공한 괜찮은 사람이다. 그런데도 그가 외로운 사람이라고 단정 짓는 이유는 그의 성장과정 때문이다. 주인공 거니의 말을 빌리자면 


 '범인은 외로운 어머니와 함께 있던 어린 아이. 술에 취한 아버지. 비명과 피와 무력감. 그날 이후 평생에 걸쳐 치유되지 않았던 육체적 정신적 상처. 복수와 구원에 대한 살인적 망상. 그래서 어린 소년은 다섯 명을 살해하고 스무 명을 살해할 계획을 가진 미치광이 범인이 되었다.'(584p 원래는 범인의 이름이지만 아직 안 읽은 분들을 위해 바꾸었어요~ )


 이 글만 봤을 때는 외롭지 않던 소년이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살해당하면서 육체적, 정신적 고충을 받은 듯하다. 소년은 어쩌면 어머니 못지 않게 외롭지 않았을까. 항상 일을 하느라 정신 없고 집에 있어도 알코올에 취한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와 어린 자식을 감당해야 하는 어머니. 그 둘을 보면서 소년 역시 극도로 외롭지 않았을까? 그 둘 모두 자기와 있어도 행복해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나마 어머니라는 존재가 옆에 있어주었다는 사실만이 그 소년에게는 위안이 아니었을까. 극한 외로움 속에서 지푸라기처럼 존재하던 어머니를 잃었다. 그 후 더 극심한 외로움 속에 갇혔다. 다른 사람들과 별반 다를 바 없어보이지만, 그 외로움을 가시게 해줄 존재가 등장하지 않으면서 계속 과거에 짓눌리며 망상하게 된 결과가 그 끔찍한 살인사건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사실 장르소설에 유년 시절의 기억으로 미치광이가 된 사람이 낯선 존재는 아니다. 그 이유가 언제부턴가 그런 사건이 자주 벌어져서인지는 모르겠다. 다만, 외로운 사람이 늘어간다는 사실이고 누구나 범인처럼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래도 그렇게 되지 않는 이유는 자신이 외롭다고 느낄 때 떠오르는 누군가가 존재하고, 그 존재에 의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기분 좋게 사회를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새삼 외로울 때 누군가의 감상 속에 등장하는 그 분들께 감사를 표한다. 


*제 블로그에 올린 글과 동일합니다. http://sady_46.blog.me/1401677577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의 연쇄 독서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책들의 연쇄
김이경 지음 / 후마니타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겉표지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책들의 연쇄라는 문구가 쓰여 있습니다. 이 문구를 보자마자 저는 8월 달쯤 읽은 소설 읽는 방법을 떠올렸습니다. 이 소설은 소설 읽는 4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그 예시도 보여줍니다. 그 중 다카하시 겐이치로의 알고 보면 훨씬 더 무서운 한나절을 예로 제시하며 보이지 않는 링크를 클릭하며 읽는다는 부제목을 달아 방법을 이야기 합니다. 그 중 일부를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략)

원래 모리 오가이의 한나절은 어떤 소설이지?’라든가 한나절은 언제 쓴 작품일까?’라는 등의 궁금증이 생긴다면 그것을 조사해본다. 작가 오가이의 작품 경향이 궁금하다면 그의 소설 몇 편을 찾아 읽어본다. 그것만으로도 한 번의 독서 체험이 줄줄이 가지를 쳐나가는 무수한 독서 체험의 통로로서 가능한 셈이다. (중략)

인터넷의 링크처럼 책장의 언어 하나하나에는 무한한 링크가 첨부되어 있다. 소설 속에 한나절이라는 단어가 나왔다면 그 뒤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링크가 길게 이어져 있는 것이다. 그것을 클릭해보느냐 마느냐가 한 번의 독서 체험의 두께를 크게 좌우할 것이다. (소설 읽는 방법138p~139p)

 

 한 권의 소설을 읽고 그 속에 등장하는 소설을 읽게 되고, 그 작가에게 이끌려 다른 작품도 읽게 되는 현상. 이것은 마녀가 얘기하는 연쇄독서법의 공식 중 하나입니다. 마녀 역시 그렇습니다. 마담 보바리를 읽고 작가 귀스타브 플로베르에게 이끌려 감정교육을 읽었고, 박지원의 열하일기, 연암집을 읽었습니다. 그 뿐 아니라 두 작가에 대해 알고 싶다는 생각이 플로베르의 앵무새, 나의 아버지 박지원같은 작품으로까지 이어졌으니 한 번의 독서 체험이 무수한 독서 체험의 통로로써 가능하다는 다카하시 겐이치로의 얘기는 맞는 말 같습니다.

 

 희한한 사실은 이 책 속에는 우리가 흔하게 접하는 연쇄독서법 책 속의 책 읽기가 자주 등장하지 않습니다. 알고 봤더니 마녀의 계획이었던 모양입니다. 딱 한 챕터에서 책 속의 책 읽기를 시도하는데 워낙에 일반적인 연쇄라서 자제하려고 애썼다고 합니다. 무슨 소리인가 싶어서 글쓴이의 말을 읽어보니 잡지에 마녀의 연쇄 독서 탐사기라는 제목으로 연재된 내용을 묶은 도서라고 합니다. 구독자들에게 한 권의 책을 통해서 이런 방법으로 다음에 읽을 책을 고를 수 있다고 제시하는 내용이니 되도록 흔한 방법은 자제하려고 했던 듯합니다. 제멋대로의 추측일지도 모르겠지만요.

 

 저는 줄곧 한 번 읽고 마음에 든 소설의 작가를 중심으로 책을 읽어나가곤 합니다. 그런데 이외로 다양한 연쇄가 존재하더군요.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소설 속의 캐릭터가 리메이크가 될 때 그 캐릭터를 향한 궁금증으로, 어느 독서를 읽고 난 후의 궁금증에 대한 해답으로 다음 도서가 선정이 되더군요. 그 외에도 세세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쇄가 일어납니다.

 

 이 책을 읽을 때 좋은 점은 새로운 링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 도서는 한 도서에서 다음 도서로 넘어가는 연쇄 이유에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서의 감상도 기록돼 있습니다. 그 내용을 읽어 넘기다 보면 저도 모르게 이 책은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챕터들이 나옵니다. 그 챕터에 등장하는 소설은 따로 적어두었습니다. 새로운 연쇄독서법에 도전하게 되는군요. 도서 에세이를 읽다가 그 감상에 혹해서 책을 읽는 것, 이것은 어떤 연쇄일까요? 리뷰 연쇄일까요?

 

*위의 리뷰는 제 개인 블로그에 올린 내용과 동일합니다.

http://sady_46.blog.m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