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과 저항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총서 24
장경렬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비평가들의 비평은 '가치 판단'으로서의 비평이 아니고 '분석'으로서의 추구,

왜냐 가치 판단적 비평은 기껏해야 남을 설득하거나 칭찬하는 수단에 불과하고,

최악의 경우 개인적 느낌을 감정적으로 드러내는 방편일 뿐 어떤 경우에도

참된 지식을 반영하거나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신비평을 학문분야에 포함시키고자 했던 움직임에 대한 일침,

풍요로운 문학 유산을 지닌 영국의 비평계가 미국의 비평계처럼

조바심을 보일 필요가 없었다는 것. 하지만 신비평의 비평 원리를 주관적, 객관적,

인식적으로 살펴 보며 이론적 대안을 찾아 보겠다고~

 

1. 인식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노스롭 프라이에서 찾다. 비평의 과학화, 곧 비평의 대상이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부분이어야 한다. 헤아릴 수 없는 영역은 배제하기에 신비평과는 다르다.

그리고 결국 이러저러한 이유로 프라이가 시도한 비평의 과학화는 하나의 실험

이상의 의미를 인정 받을 수 없다.

 

2. 존재론적 대안

 1) 문학 작품의 존재론적 관점에서의 논의

 ~ 현실 지향적 비평 논리 : 문학과 문학 비평은 스스로 이념적,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실체, 비평의 적극적 비판, 사회 참여를 강조.

 

~ 작가 지향적 비평 논리 : 신비평에 맞서 작품과 작가의 관계 속에서 문학의 존재

   이유를 찾고자 한 에릭 도널드 허시2세.

   그의 논리는 일련의 말은 누군가 그 말에 의해 무언가를 의미하거나, 무언가를

   이해하기 전에는 특정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로 요약하면 될 듯.

 

~ 독자 지향적 비평 논리 : 작품과 독자 사이의 한계에 초점을 맞춰 문학 존재 이유를 찾는 비평으로 독자와 문학작품 중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세분화 된다.

    후썰의 주장과 신비평, 노먼 홀런드, 데이비드 블라이크, 조지프 힐리스 밀러 등의 비평관을 예로 들고 있다.

 

~ 가치론적 대안 : 크리거는 비평가의 주관적 판단이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 독자들을 포용할 수 있기를 희망해야 한다고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가치판단의 객관성까지 주장할 수는 없다고도 한다. 다수가 합의할 수 있는 가치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

 

~ 언어론적 대안 : 데리다는 소쉬르의 기호와 의미의 관계가 일시적인 것이라는 논리를 펼친다. 기호와 의미는 또 다른 의미 및 기호와 관계를 맺으며 끊임없이 서로에 대해 새로운 관계 정립을 요구하기 때문에 언어가 안정된 의미 지시 기능을 유지한다는 식의 논리 자체가 허구에 근거한 것일 수밖에 없다고.

 

위의 내용까지 쓰고 책을 덮었다.

나는 왜 아직까지도 이렇게 불필요한 이론을 읽고 끄적대고 있는가,,,

하는 생각과 함께.

이제 진정 정신이 즐기기 위한 것들을 읽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