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힘 - 조선, 500년 문명의 역동성을 찾다
오항녕 지음 / 역사비평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 공부를 한다고 하는 사람들의 책에 빠지지 않는 공통점.
바로 비방. 특히 역사에 관한 글을 읽어 보면 거의 대부분.
이번 책도 마찬가지였다.
 
독자인 나는 저자 오항녕의 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사람인데 아주 신나게 깐다.
그들 사이에서 말하면 아,,그 사람, 하고 알 만한 그런 인물일 것.
뭐 상관할 일은 아니지만 그냥 내가 찾은 건 이건데 그가 말하는 그건 옳지 않은 게 아닐까
정도로 하는 게 보기 좋을 듯하다.
이런 게 끼이면 책을 좋게 보려 해도 좋게 볼 수가 없게 된다.
열정은 좋은데 그게 지나쳐서 상대방에게 날카로운 바늘이 되어 날아가고 그걸 독자가 느끼게 되어
좋지 않은 기분을 갖게 되는 게 기꺼운 일은 아니라는 걸 좀 알아 줬으면.

위와 같은 불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그동안 알지 못했던 많은 사실을 알려 준다.

 

1장 문치주의의 꽃

 

조선에서 빠지면 안 되는 경연, 이는 임금과 신하가 경전을 놓고 세미나를
벌인다는 것인데 지금의 상황과 아주 다른 낯선 풍경.
저자는 시기별로 경연을 어떻게 활용했고 경연을 폐지한 왕은 누구인지 등을 다루고 있다.

 

2장 실록, 그 돌덩이 같은 저력

 

실록은 중국 당 태종 때부터 편찬되기 시작됐고, 우리는 통일신라 말 9세기경부터였다고 하는데
세계 그 어느 나라를 보아도 이와 같은 1차 사료는 찾아 보기 힘들다고 한다.
아주 많은 내용이 실려 있지만 아래와 같은 문장이면 충분할 듯.

실록의 묘미는 아무나 볼 수 없었다는 데에 있다. 국왕은 물론이고, 사관을 제외하고는
그 누구도 볼 수 없는 기록이었다. 조선 양반 관료제가 자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큰 힘이
바로 이 실록에 있었다. 역사라는 심판관이 쥔 판결문을 아무나 볼 수 없었던 것이다.

과연 지금 우리의 정치는 어떤 존재가 심판할 것인가~!

 

3장 헌법과 강상

 

조선에도 지금과 같은 헌법이 있었을까?

조선 초에는 [국조오례의]라는 예서를 통해 국가 차원의 예제를 확립했고
고금의 예서를 참고해 성종 5년(1674) 신숙주 등에 의해 완성된 이 책이
[경국대전]과 함께 기본예전이 되었다고 한다.

 

4장 대동법, 혁신하는 시스템

 

대동법이 광해군대에 시행되지 못한 이유는 단지 지도층이 대부분 양반 관료였기 때문이라는
한국사전의 내용은 옳지 않다면서 그 증거들을 나열하고 있다.

 

광해군은 대동법의 확대성과 임진왜란 이후 재정과 민생을 수습해야 한다는 시급성 때문에
이원익의 제안에 따라 선혜청을 설치했지만, 안팎의 조건은 그리 만만하지 않았다.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집권 기반이었던 북인이자, 소북이었던 유영경 대신 좌의정에 임명되었던
기자헌이 바로 방납 커넥션의 주인공이었다. 이들은 방납으로 막대한 이득을 챙기는 자들로,
대동법 시행을 반대하는 게 당연했다.


비변사의 보고에 따르면 경기선혜법 이후로도 대동법을 확대 실시하자는 주장은 여러 번
제기되었다. 광해군 원년에 사간원에서 올해에 한해 일단 선혜청 사목에 따라 시행하자고
요청했으나, 광해군은 천천히 하자고 미루었다. 광해군 2년 9월의 기록을 보아도
곽재우 뿐 아니라 조정 신하들도 여러 번 확대 실시를 요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제안은 광해군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광해군은 '특산물이 나는 곳에 공물을 분정한다'는
관례에 기초한 '현물납'을, 포기할 수 없는 원칙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광해군은 유공량 등
북인들의 대동법 반대 의견에 동조했다.

 

5장 오래된 미래, 조선 성리학

 

중국 사상계에서 탄력을 잃어가는 성리학의 주체성과 자발성을 환기시키는 혁신이었던 양명학이
왜 조선에서는 발을 붙이지 못했는가를 말하고 있는데 이는 퇴계의 양명 비판 때문이었고
그 이유는 양명학의 견해가 불교의 견해와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었다고 간단히 정리하면 되겠다.
고려를 잇지 않기로 한 만큼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와 비슷한 견해를 지닌 양명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당시로썬 말이 안 되는 일이고, 송시열이 주자의 저술을 정리, 재해석하기 시작했던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6장 부활하는 광해군

 

그레이트 북스 역사 수업 교육 과정에서 처음 접한 광해군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족을 죽인 패륜왕인가,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줄다리기 외교를 적당히 잘한 지혜로운 왕인가.

저자는 그와 같은 시작이 일본의 이나바 이와키치 덕이었고, 그때부터 이병도에 이르는
수많은 역사학자들이 한배를 타고 광해군을 새롭게 부활시키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나바의 해석은 중국사의 변동을 통해 역사를 규정짓는 관점인데, 소선사는 늘 중국이나
일본의 외부 조건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을 명시하고 싶은 것이었다는 저자의 말.

 

7장 당쟁과 기에 대한 오해

 

위에 얘기했던 이덕일 소장의 글을 비판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김시습 VS 네모들 정도?

위와 같은 글을 끝으로 저자는 이제는 우리가 그분들의 당색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간의 크기를 배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8장 역사 바로 세우기_단종과 사육신

 

노산군이 단종이 되고,
사육신이 충신이 되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재미있다.

 


오탈자로 의심되는 부분

127쪽 2줄: 그럴 듯하면서도 -> 그럴듯하면서도
133쪽 5줄: 바랬다 -> 바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