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치는 여자 - 2004 노벨문학상
엘프리데 옐리네크 지음, 이병애 옮김 / 문학동네 / 199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연히 보게 됐던 [연인들]이 너무 좋았는데,
가끔 들르는 신림 고시촌의 어느 헌책방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는 한참을 들었다 놨다를 반복했다가 결국 끼워 넣었었다. 

[연인들]밖에 접하지 못해 비교할 대상이 그것밖에 없지만 되도 않는 비교를 해보자면
[연인들]보다 무언가 덜 짜여진 느낌이랄까, 확인해 보지 않았지만 어쩌면 이 책이 그보다
훨씬 먼저 쓰여졌을 것이란 생각이 강하게 들고 이 작품은 [연인들]이 나오기 위해
열심히 습작된 글들 중 하나에 불과할 것이란 조금은 우습기도 한 나만의 논리를 조금 펴 보다
그만 수줍게 접고 만다.

친절한 줄거리 요약을 하려다 그냥 시원하게 지운다.
쓸데없는 짓. 

엄마의 꼭두각시 에리카.
어미가 싫어하는 스타일의 옷을 사 모으는 것 외에 결코 반항이라는 단어 따위도 없는 그녀에게
면도칼의 자해는 유일한 탈출구일 것이었다.
벗어나 보겠다고 거만한 어린 아이 클레머의 장난질에 너무 진지하게 반응하다
호되게 당하게 되었으니 다시 자신의 유일한 탈출구 자해로 복귀하겠지만
그 자해가 예전의 쾌감을 얻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언젠가 [피아노]라는 제목의 영화를 봤었다.
대충의 내용과 몇몇 떠오르는 장면의 기억으로 봐서 아마도 이 책이 원작인 듯한데,
이렇게 어려운 상황을 독백도 별로 없는 영화로 감히 표현해 보겠다고 덤볐다니 참 대단도 하다. 원인도 마음의 상태도 빠져 있는 그림만 있는 영화를 보면서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던가! 

다른 많은 책들에서 보았던 고통의 최고 형태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는, 

135쪽.
이 시내 영화관에서는 우아한 몸매를 가진 인간종족의 대표들이 등장해서 어떤 고통도 없이
또 고통에 대한 가능성도 없이 행동하고들 있다. 매끈한 고무로 된 인간들!
고통이란 쾌락, 파괴, 그리고 파멸로 향하는 의지의 결과인 것이다.                                        고통의 최고 형태는 일종의 쾌락이다.
에리카는 기꺼이 자기 자신을 죽이는 한계까지 뛰어넘고 싶다.
세련되지 못한 시골 영화관에서 일어나는 성행위에서는 고통을 미화하려는 소망들이 더 크다.
이 지저분하고 한물간 아마추어 배우들은 더 열심히 일하면서 자신들이 이런 진짜 영화에
등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무척 고마워하는 것이다.
그들의 피부는 멍이 들었고, 뾰루지도 나 있고, 흉터도 있고, 쭈글쭈글하고, 딱지가 앉아 있고,
피부병, 혹 같은 것도 있다. 염색도 잘 안 된 머리카락. 땀.
더러운 발도 그대로 볼 수 있다. 푹신한 의자가 있는 고상한 영화관에서 상연되는 심미적으로
수준 있는 영화에서는 주로 남자와 여자의 겉모습만 보게 된다.
이 두 족속들은 보증하건대 더러움을 떨쳐버리는 나일론 옷감을 몸에 바짝 붙여 입고 있다.
이 섬유는 부식도 안 되고, 막 눌러 밟아도 되고, 온도에 따른 변화도 없다.
이에 반해 싸구려 포르노에서는 남자가 여자의 육체 속으로 투입하는 욕정이 감추어지지 않고
나타난다. 여자는 말을 안 하다가 일단 말을 시작하면 '좀더! 좀더!'만 외친다. 

그리고 그녀가 포르노를 통해 반드시 알아내고 싶은 그것은, 

136쪽.
이곳 소프트 포르노에서는 모든 것이 단순한 외부세계에만 집중되어 있다.
이것은 미식가인 에리카에게는 성에 차지 않는다.
물어 뜯으며 한데 뒤엉켜 있는 사람들 속에 도대체 무엇이 숨어 있기에 그렇게
사람의 감각을 뇌쇄시켜서 누구나 그것을 행하거나 직접 바라보고 싶어하는지
알아내보고 싶기 때문이다.                                                                                             육체의 내부로 들어가는 길은 설명이 불충분하고 의심의 여지를 남긴다.
인간으로부터 마지막 은밀한 부분을 끌어내려고 그들을 해부할 수는 없지 않은가.
싸구려 영화에서는 여자들에 관해서 더 깊이 관찰할 수 있다.
남자들에 대해서 그렇게 제대로 꿰뚫어볼 수는 없다.
어차피 궁극적 근원은 아무도 볼 수 없으니까.
여자의 몸을 가른다 해도 볼 수 있는 건 오장육부뿐이다.
남자들은 여자가 무질서한 신체기관 속에 결정적인 어떤 것을 숨기고 있다는 느낌을 가끔
받는 게 틀림없다고 에리카는 생각한다.
바로 이 마지막 부분에 숨겨진 것을 일깨워서 에리카는 더 새롭고, 좀더 깊고, 더욱더 금지된 것을
관찰하고 싶은 것이다. 그녀는 항상 새로운 미증유의 광경을 찾아가고 있다.

어떤 여자들은 느꼈을지도 모르는 섹스에 대한 그 기분을 에리카는 이렇게 표현했다. 

237쪽.
걸어가면서 에리카는 그녀의 아랫도리 끝에 있는 구멍을 증오한다.
예술만이 달콤함을 무한히 약속해준다.
조만간 아랫도리의 부패는 진전되어 더 많은 신체부위를 차지할 것이다.
그러면 사람은 고통 속에서 죽고 마는 것이다.
섬뜩해하며 에리카는 자신이 백칠십오 센티미터 크기의 크고 무감각한 구멍이 되어
관 속에 누워 있고 흙이 되어버리는 것을 상상한다.
그녀가 경멸하고 소홀히 했던 구멍이 이제 와서 그녀를 완전히 지배하게 돼버린 것이다.
그녀는 이제 아무것도 아니다.
그리고 지금 그녀에게 이보다 더 간절한 것은 없다. 

'따뜻하게 안아 주세요' 대신 '저를 묶어 때려 주세요'라고밖에 표현할 수 없었던 에리카를
정말 따뜻하게 안아 주었더라면,                                                                                      클레머가 그녀를 조금이라도 이해해 줬더라면
이야기는 많이 달라졌을까?

둘의 사랑을 망친 건 누구일까?

그리고 그것을 사랑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