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배수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마를 기준으로 해서 인맥이 넓어지며 표현되는 빈곤에 관한 심도 있는 이야기.
그동안 보아 왔던 배수아의 인물들처럼
성별이 헷갈린다거나 서로 동떨어져 있다는 느낌이 들거나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엮이고 엮이면서
각자의 빈곤과 그 빈곤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끊임없이 이어져가고 있다.
전주 영화제를 가기 전 기분 좋게 읽을 책이 한 권 더 필요했을 찰나 눈에 들어온 배수아의 이 책.
예전 독서모임의 대장인 녀석의 소개로 처음으로 ,어쩌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그녀의 인터뷰가 실린 잡지를 샀고 예전에는 직업상 지겹게 읽을 수밖에 없었던 그 잡지에서
그녀의 인터뷰 기사 부분만을 절개해 책상 위에 놓은 뒤 지나치게 크고 부유해 보이기만 하는 보그지를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집 앞 대문 곁에 뉘여 놓고 들어와 차분하게 읽어본, 분량이 생각보다 많은 그녀의 인터뷰.
그 속에서 개인적으로 아끼는 작품이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이란 이야기를 보고
조금은 유치하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십원어치의 망설임도 없이 꺼내들어,
시오노 나나미의 남자들에게를 덮고 읽기 시작했던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구체적으로 독후감을 남기지 않던 시절에 읽은 작품이라 부분부분만 기억날 뿐인 이 책은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하게 내게 다시 나타나 주었다.
불편하게만 들이닥칠 그 지독한 빈곤에 대해서,
전주로 가는 무궁화 안, 평소 잘 쓰지 않는 인상을 옴팡지게 쓰며
내 그 무서운 빈곤과 맞서보겠다는 각오로 열심히 곱씹고 또 곱씹으며,
집에서 읽다가 남은 적지 않은 분량을 읽어 치웠다.
세상의 모든 것이 다 담겨 있는 듯 느껴지는 이 작품은 결국 빈곤 한 가지 인상밖에 남겨 주지 않았다.
이 작품에서의 문체는 [붉은 손 클럽]에서의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
남자와 헤어지지 않겠다고 악다구니 쓰고 있는 여자의 손을
끓는 기름에 집어 넣은 채 꼭 잡고 있던 그 남자.
인간의 감정에서의 끔찍함과 세상 살이에서의 끔찍함을 표현하려면
비슷한 느낌의 말이나 행동이 필요하다는 요상한 억지가 다가온다.
하지만 정말 그럴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게 억지여도.
다음은 오탈자.
83쪽 밑에서10줄: 되요 ->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