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망 없는 불행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5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6월
평점 :
제목과 같은 [소망 없는 불행]과 [아이 이야기]로 이루어진 책.
베케트 이후 가장 전위적인 작가, 뭐 이런 얘긴 필요 없고,
만드는 이야기가 아닌 자신의 속에서 나오는 것들을 게워내듯
꾸역꾸역 써나가는 이런 작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지만,
뭐 어떤가, 읽으면서 그에게 공감하는 나라는 독자만 있으면 되지.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써야만 이게 문학이다 라고 떠드는 족속들은
그저 주둥이로만 문학을 하는 자들이란 생각.
틀 같은 것은 이제 그만 만들어도 될 만큼 너무 많은 것들이 둥둥 떠다닌다.
받아들일 일이다.
[소망 없는 불행]
누구나 다 자신에 대해 제대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피터 한트케의 어머니가 독서하고 토론하는 데 열중했다가 돌연 자의식을 갖게 되고
자신을 표현하기 시작하니 아들이 그녀에 대해 점차 알게 되는 것처럼,
계기~! 매체로써의 계기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야속하게도 모두가 다 이러한 계기를 얻는 것은 아닌 것이다.
무언가를 통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그러한 계기를 가졌기에 행복할 것만 같았던 그의 어머니는
많은 약들을 삼킨 채 죽음을 선택하고 그에 성공했다.
'드디어 평화롭게 잠들게 되어 아주 편안하고 행복하다'
라고 마지막 말을 남긴 그녀는 정말 행복했을까?
매일매일 소심하게도 죽음을 희망만 하는 나날들을 보내며
생각과 행동이 도대체 대화를 하는지 안 하는지
무척이나 열심히 살아가는 나란 존재는 그렇다면 소망 없는 불행을 사는가
불행한 소망을 소심하게 소원하며 열심히 사는 불행을 선택한 것인가.
삶에 정답 따위는 없는 것이다.
그저 삶이 있을 뿐.
[아이 이야기]
이혼한 덕에 덥석 맡아 함께 생활하게 된 아이의 아빠는 자유로운 영혼이었다.
그 영혼들은 자신의 시간을 빼앗기는 것을 지독히도 싫어하는데
아이란 특히나 어린 아이란 그런 사람에게는 조금도 맞지 않는 존재인 것이다.
더군다나 이 자유로운 영혼들은 대개 마음이 여려서 그런 아이를 내팽개치지도 못한다는 것.
잘 대해보려고 노력하느라 진땀을 빼고 자신의 시간을 갖지 못함을 한탄하다가 아이는 저혼자 클 수밖에.
그는 그것을 몰랐다.
인간 될 때까지, 밤일 해서 낳은 두 인간이 책임을 져서 돌봐야 한다는 사실을.
그리고 그것은 사회 속에 살면서 자신의 뜻대로만 되는 일은 아니라는 사실도.
저자와 같은 경우 아이를 통해 진지한 생을 얻게 되는 경우는 조금 드문데,
그는 결국 자신의 아이를 돌보기 전에 막연히 알던 아이와 아이와 함께 생활한 후의 아이의 존재가
다름을 깨달았고 그것을 통해 이러한 문학작품까지 얻었다, 아니 생산했다.
그러고 보니 두 작품을 함께 실은 것이 참 묘하다.
한 편은 죽음, 다른 한 편은 탄생.
오탈자는 시간이 늦어서 다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