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5년 4월
평점 :
공공장소 이를테면 지하철 같은 곳에서 읽으면 사람들 특히 남자들이
흘긋흘긋 쳐다볼 게 뻔한 단어가 있어 시선에 성질을 부릴까 겁나서 나중에 읽은 이 책.
다행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잠자는 미녀' 를 먼저 봤다는 것은,
비슷하다 입에 오를 수도 있을 두 작품 중
개인적으로 더욱 감명 받을 작품을 나중에 보게 됐다는 것이고,
나중에 읽었다면 심각한 욕설과 함께 처음으로 집어 던져짐을 당했을지도 모를 작품을 쓰신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 님에게도 죄송할 일이니까.
책을 펼치자마자
"고약한 짓은 하나도 할 수 없습니다." 여관 여주인이 노인 에구치에게 경고했다.
"잠자는 여자의 입에 손가락을 넣어서도 안 되고, 그와 비슷한 어떤 짓도 해서는 안 됩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잠자는 미녀의 집]
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이 책을 읽고 영감을 얻어서 쓴 책이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이라고 하지만
두 작품은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르다.
잠자는,,,은 잠자는 여자와 잠만 자라고 강요하지 않아도 다른 것은 크게 할 수 없는
남성을 상실한 노인들이 가야 할 곳에 남성을 상실하지 않은 에구치가 갔던 것이고,
내 슬픈,,,은 아흔이 됐지만 아직 남성을 상실하지 않은 현직 기자이자 칼럼니스트
노인의 뜻 깊은 생일을 위한 생처녀가 필요해서 이십 년 만에 로사 카바르카스를 찾게 되는 것.
이건 억지일지도 모르지만 에구치는 개인이 하는 것이라 할 수 없는 경험을 우연히 하는 것이고,
아흔 살의 '서글픈 언덕' 은 그저 서글픈 언덕의 이야기를 풀어낸 것이지만 단지 그 개인만의 이야기로 보기에는 노년을, 비록 아내도 자식도 없지만, 평생을 돈을 주고 창녀에게 안정적이지 않은 사랑을 주고 받은 것뿐이지만 대부분의 노인 남성들이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는 표현력과 그림을 선사해 주었다고 나는 감히 생각했다. 마무리 짓자면 에구치는 누구나 비슷비슷하게 지내는, 아이가 장성해 결혼을 하고 이제는 아내와 젊은 시절처럼의 즐거움을 나누지 않게 되는 나이의 노인의 성에 대한 소재 정도라면,
서글픈 언덕은 아내도 자식도 갖지 못한 아흔의 노인이 자신이 아닌 여인 때문에
처음으로 느끼는 사랑에 대한 소재를 넘어서 주제까지도 침범할 수 있는 글이 된다는 것.
아, 뭔가 더 명확하게 설명하고 싶지만 더 이상 생각이 명확해진다는 것은 어쩌면 이 생각이
흩어지는 것에 다름아닌 것이란 생각이 들어 여기까지.
로사 카바르카스는 줄곧 서글픈 언덕에게 현자양반이라고 칭하지만,
결국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는 것은 로사 카바르카스거나 나중에 서글픈 언덕의 사랑 얘기를 듣고
누구보다 열띤 응원을 펼쳐주는 창녀일지도 모르겠다.
그래 서글픈 억덕의 말대로
"섹스란 사랑을 얻지 못할 때 가지는 위안에 불과한 것" 에 불과하다.
지적하기 싫었지만 오탈자로 의심되는 부분.
100쪽 6줄: 깨우치고 -> 깨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