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의 고독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1999년 10월
평점 :
책 표지부터 아주 고독하고 철학적이라 무지무지 심오한 책일 거란 편견에 사로잡혀 읽기 시작,
장장 오개월 정도에 걸쳐 띄엄띄엄 다른 책과 함께 야금야금.
첫 장을 넘기자마자 부엔디아 집안의 구성도가 등장하는데 복잡하기 그지없는 그것을 열심히 들여다 봤지만 봐도봐도 알 수 없는 구성도에 불과하단 사실은 다른 책과 같았다.
호세 아르까디오의 고독
여러 나라 글귀가 울긋불긋하게 꽉 들어찬 남근으로 사창가에서 힘내기를 하고, 점심으론 돼지를
반 마리 먹어치우는, 집시들이 데려갔다 홀로 돌아온 그,
너무 웃긴 건 그의 방귀에 꽃들이 시들어버리는 캐릭터 제작 작가 마르케스는 세르반테스의 유머보다 조금 더 만화적 향이 짙지만 그보다 진지한 느낌으로 위와 같은 인물에게도 고독이 자신도
모르게 묻어난다는 것.
삘라르 떼르네라의 고독
평생 마을 사람들 운명의 점을 쳐주며 욕망을 위해 달려드는 수 많은 고독한 남자들을 전혀 막지 않더니 결국 나이가 들어서는 타인의 쾌락을 위해 거리낌 없이 자신의 방을 빌려 주는 것으로 백년의 고독을 순순히 받아들인다.
아우렐리아노 부엔디아 대령의 고독 : 권력 속에서의 고독,
그것을 견디기 힘들었다는 사실을 오한이 대신 표현해 주고 있다.
또한 그의 씨앗이 오만 곳에 뿌려져 자라고 있지만 그런 것은 그의 고독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르슬라의 고독
백 살까지 살며 집안 남자들의 꼴을 모두 보며 하나하나 챙기는 그녀, 가족을 위해 산 그녀의 백년은 고독했다.
미녀 레메디오스의 고독
남자들이 맡으면 환장을 안 할 수 없게 만드는 체취와 놀라운 미모를 갖고 태어난 그녀,
자신을 사랑하는 남자는 많지만 그녀가 사랑하는 남자는 갖지 못한채 고독하게 생을 마감.
미국으로 예상되는 바나나 농장에서의 지배인들의 횡포가 겨우 몇 페이지에서 짧고 간략하지만 인상 깊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만으로도 두터운 책이 한 권 나올 수 있을 만큼 이 책에선
많은 시대, 사건, 인물이 수도 없이 쏟아져 나온다.
심지어 158페이지에 나오는 마꼰도의 사태는 우리의 광주 민주화 항쟁과도 많이 닮아 있다.
2권 229페이지에선 페르난다가 자식들이 돌아오기로 예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년, 월, 일을 계산하는데 이것은 시간 즉, 우리가 편리를 위해 임의적으로 만들어 놓은 시간이라는 것에 대해
오랜만에 잠자코 앉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책이 끝날 무렵에는 문학이란 것에 촛점을 맞추려고도 하는데 그는 문학이 인간을 조롱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장 좋은 장난감이라고 표현한다, 와 완전 맞는 말이다.
난 문학에 의해 흔쾌히 조롱당하고 있고, 그것은 꽤나 즐거운 조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