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의 씨앗
왕자오자오 지음, 황선영 옮김, 황리 그림 / 하늘파란상상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스님은 본과 정 그리고 안이라는 동자승들의 손에 무언가를 들려준다.
“수천 년 된 아주 귀한 씨앗이란다. 이 씨앗을 심어 싹을 틔워 보거라.”

수천 년이라니... 씨앗을 받아 든 동자승들은 나름대로 생각에 잠겼다.
이 특별한 씨앗을 싹 틔울 수 있는 방법이 무얼까?
수천 년이나 되었는데 과연 싹이 틀까?

가장 먼저 싹을 틔우겠다고 다짐한 본은 행동파였나 보다.
씨앗을 받자마자 나가서 괭이를 찾아 땅 속에 씨앗을 묻었다.
반면 생각이 많은 정은 연구원 스타일의 소유자인 듯하다.
수천 년 된 특별한 씨앗에서 싹을 어떻게 하면 잘 틔울 수 있을지 연구하기 위해
연꽃에 관한 책들을 찾아보았고, 귀한 씨앗이니만큼 그에 걸맞게 가장 좋은 화분을 골라
아주 고운 흙으로 채운 후 씨앗을 심은 후 맑은 물을 뿌려줬다.
과연 이들의 정성과 노력대로 씨앗은 싹을 틔웠을까?

그랬으면 좋으련만 배경을 보니 눈이 소복하게 쌓였고 때는 겨울이었다.
언 땅에서 싹을 틔우지 못한 씨앗 때문에 화가 난 본.
싹이 튼 기쁨에 황금 뚜껑을 화분에 덮어 준 정.
그 어느 연꽃 씨앗도 그들의 방법으로는 살아날 수가 없었다.

비록 실패했지만 본과 정이 각고의 노력을 하는 동안 안은 무엇을 했을까?
그저 씨앗을 목에 건 작은 주머니에 넣어둔 뒤 원래 해오던 절에서의 할 일을 했다.
절에서 필요한 물건을 사고, 쌓인 눈을 치우고, 늘 하던 대로 밥을 짓고 물을 긷고.
마침내 봄이 오자 얼음이 녹은 연못 한 쪽에 그 귀한 수천 년 된 연꽃씨앗을 심는다.
그가 한 것은 단지 그것뿐이었다. 
그리고 어느 여름 날 아침 노스님과 안, 정과 본은 살포시 피어난 연꽃을 발견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어떤 일을 성취하고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두 가지 있는데 바로 <분별력>과 <인내심>이라는 것이다.
우선 안은 “수천 년 된”이 아니라 “연꽃 씨앗”이라는 것과, 연꽃이 서식하는 곳은
연못이라는 것, 그리고 씨는 봄에 뿌려야 한다는 것을 기억했다.
씨앗이 수천 년이나 됐으니 귀한 것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본디 연꽃의 씨앗은 실제로 오랜 세월(2천년 된 씨앗이 발아했다는 기록이 
있다. - 네이버 백과사전)이 흘러도 여전히 연꽃 씨앗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분별력과,
노스님이 씨앗을 준 계절은 겨울이니 봄을 기다리고 심은 후엔 연꽃이 싹을 틔울 때까지
기다리고 기다려야 하는 인내심. 안이 실행했던 이것들이 결국 꽃을 피워냈다.

사실 연꽃 씨앗의 싹을 틔우기 위해서는 꼭 수천 년 아니라 수 년 아니 일 년 된 것이라도 
분별력과 인내심은 똑같이 필요하다. 어떤 일이든 마땅한 시기가 있다는 얘기다.
살아가면서 행해지는 일도 그런데 하물며 생명에 관련된 것은 오죽할까.
무엇이든 한 순간에 이뤄지는 일도 없고, 올바른 분별력 없이 잘못된 판단과
방법으로 좋은 결과가 나올 일도 없다. 

가치 있는, 가슴 벅찬 결과를 원하는 일이 있다면 이 두 가지 덕목을 지녀 보자.
분별력과 인내심.
이것들이 안의 연꽃 씨앗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에게 꽃을 피워줄 것이다. 반드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