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를 움직이는 메모 - 손이 뇌를 움직인다!!
사카토 켄지 지음, 김하경 옮김 / 비즈니스세상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에서 내려온 명령을 따라서 우리 몸이 움직이는 시스템.
그런데 메모로 이 뇌를 움직일 수 있다는 발상이 흥미롭다.
일전에 메모의 기술을 출간한 저자 사카토 켄지의 새로운 책이기에
더욱 관심을 두게 되었다.
뇌를 움직이는 메모는 도대체 어떤 메모일까? 

저자는 메모를 하면 할수록 뇌의 정보 흡수력이 향상되어 뇌가 더 활발하게
움직이며, 메모라는 행위를 통해 우뇌와 좌뇌를 활성화 되고
정보의 입력, 편집, 출력의 과정으로 인해 뇌의 능력이 향상된다고 말한다. 

사람의 뇌는 절전모드로 만들어져 있다.
메모가 필요한 이유가 사람의 뇌는 원래 절전모드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라고 한다.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곧바로 그 입수된 정보를 폐기한다는 것이다.
내게는 정말 중요한 정보인데 뇌는 그렇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폐기처분 당할 수 없으니 메모를 하라는 것.
특이한 것은 우뇌, 좌뇌를 위한 메모가 따로 있단다.
우뇌를 위해서는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고, 좌뇌를 위해서는 일상을 시작하기 전
확인해야하는 메모를 적고, 업무적 메모를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장마다 메모의 효과, 기본적인 메모, 비즈니스 현장에서의 메모,
뇌를 단련하는 방법, 자신이 원하는 미래를 손에 넣을 수 있는 메모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책을 읽으며 나의 메모습관을 한 번 뒤돌아보았다.
책상 위에는 항상 수첩이 대기해 있고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항은
포스트잇에 적어 컴퓨터 모니터나 냉장고에 붙여두곤 했다.
잊지 말아야 할 일정은 미리 날짜별로 기입한 후에
일정 중간 점검 시에는 녹색 펜으로, 상황이 완료될 때마다
빨간색 펜으로 OK 표시를 하고 마무리 했다.
항상 물건을 사러 갈 때엔 미리 무엇이 필요한지 틈틈이 적어 둔 메모를 들고 가고
외출 시 가방에는 메모지와 볼펜이 대기하고 있다.
이 정도면 쓸 만한 메모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었는데
가끔 메모를 한 것 자체를 잊는 경우도 있으니 저자가 주장한 좀 더 체계적인 메모를
해야겠다는 반성을 해본다.  

켄지가 주장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은 바로 나의 미래를 손에 넣을 메모이다.
우뇌 좌뇌를 활용한 일기(그림일기쯤 될까?)를 항상 써야겠고
내 미래를 구체적으로 적은 메모를 책상 앞에 붙여 두어야겠다.
매일매일 보고 마음이 약해질 때마다 다시 한 번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무척 기대했던 만큼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는 글의 구성은 아니었지만
메모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였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