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발,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는다
타니 아키라, 신한균 지음 / 아우라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책표지에 오롯이 담긴 사발 하나가 이목을 끈다.
화려하지 않고 꾸밈없는 그 모습에서 은은하게 배어 나오는 기품은
옛 시간과 함께 그것을 만든 장인의 魂이 고스란히 스며있기 때문일까.
사기로 만든 밥그릇이나 국그릇을 의미하는 사발의 그 생김새는
위는 넓고 아래는 좁으며 굽을 가진 형태를 하고 있다.
저자 신한균은 요즘 우리 한국인들이 대체로 사발을 아무렇게나 만들고
아무렇게나 쓴다는 의미로 막사발이라고 부르며 홀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탄하며 본래 사발은 탁월한 기술력을 가진 조선 장인의 손에서
태어난 명품임을 이야기한다. 또한 일본인들은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그러는 것처럼 이것을 소위 막사발로 부르고 홀대하지 않고 도리어
우리나라 도자그릇을 국보나 중요문화재로 삼아 귀하게 대접하고 있으니
심히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들이 발견한 미적 가치와 역사성을
귀한 유산의 원래 주인인 우리는 알아보지 못하는 것일까.
게다가 우리의 소중한 최첨단 백자기술을 임진왜란 때 일본에 빼앗기고
茶문화도 그 맥이 한동안 끊겼기 때문에 그 무관심이 더해졌으리라.
기획자는 그런 안타까움에 사발의 본래의 가치를 찾고 그 우수성을 알리고
값싼 플라스틱 그릇에 밀려있던 도자그릇을 통해 우리의 茶문화와 食문화가
향상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기획했다고 한다.
책에서 저자 신한균은 한국 명품사발의 탄생시기와 도자기의 기법,
현재 보관된 곳 등을 사진과 더불어 소개한다.
그 중 눈에 띄는 것의 이름은 청자 넝쿨무늬 사발.
유약에서 느껴지는 분위기가 푸른 호수에 빠진 가을 하늘 같다라고
표현한 저자의 말처럼 청자 넝쿨무늬 사발은 그 모양과 색감이
묘하게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었다.
공동저자인 타니 아키라는 고려다완의 우수성을 알리며
일본인이 애호하는 명품 조선사발을 이야기 하는데 대부분이 찻사발이다.
역시 茶를 사랑하고 그 문화를 즐기는 일본인을 대변하는 듯.
그 중 주목하게 된 것이 바로 이도다완이라고 하는 것인데
일본에서는 다완(가루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사발)의 황제라 칭송한단다.
첫째는 이도다완, 둘째는 하기다완, 셋째는 카라츠다완 이라는 말이 있다니
실로 그 명성을 한 눈에 느낄 수가 있다.
정작 원산지인 한국에서는 제 이름이 없어 막사발, 이도다완,
정도다완이라고 부르지만 필자는 노란색을 띠는 이 사발을
황도사발로 부를 것을 제안하고 있다.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마치 박물관의 것을 그대로 보는 듯
마음이 벅차면서도 한 편으로 알싸한 기분이 들었다.
그릇, 특히 도자기를 좋아하고 관심도 있지만 사발에 대해 이렇게
많은 것을 알지 못했구나 하는 안타까움이랄까.
사발의 백과사전 같은 이 책을 책장에 소중하게 꽂아 놓고
두고두고 꺼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사발의 주인인 우리 한국인들이 사발의 소중함을 깨닫고
그에 맞는 대접을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도.
이렇게 삶을 살아가면서 소중한 우리의 것을 또 하나 되찾은
기쁨을 누리게 된 이 시간이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