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대왕고래 :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에 관한 놀라운 이야기 아름다운 지식 2
안드레아스 셰른샤우겐 지음, 리네 렌슬레브로텐 그림, 이정모 옮김, 장수진 감수 / 여유당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거대한 생명체가
바닷 속을 헤엄치고
있다고 생각하면
왠지
너무 근사하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이 책의 근사함은
그 거대한 존재의 유영과 같다
읽어보시길
아이들에게 그 근사함 전해 주시길
그리고
추워서 거대해진
이 생명체가
더워서 멸종하지 않도록
마음쓰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 거대한 바다 속에
27미터에
무게가 100톤인 대왕고래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생명체가
무사히 잘 살고 있다는
사실은
어쩐지

지구라는 행성이 꽤 근사한 곳이라는
생각을 하게한다 이 근사한 책에 감사하게 되는 이유다
지구가 더워져서
대왕고래가
살기 어려운 바다가 된다면
. . .
바닷물이 더 따뜻해지지 않길 비는 마음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생물다양성을 생각할 때 어떤 종이 필요하고 어떤 종이 그렇지 않은 지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생물다양성의 다양한 조치들이 다양한 종과 세계의 부분들을 보호하라고 하기 때문에 이러한 판단을 훨씬 더 어렵다.
인간이 많은 것을 결정하는 세계에서 인간을 위한 결정이 점점 인간을 위한 결정이 아닌 쪽으로 흘러가고 있지만
인간은 아무 것도 확신하지 못하면서 너무 편리한 쪽을 선택하는 매 순간
그 매 순간이 앞으로 어떤 대가를 요구할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너를 기억하는 풍경
손홍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어 있음은 차 있었다는 것에 대한 아쉬움 일 것이다. 사람을 겪는다는 건 어렵지만, 겪어야만 알아지는 게 있다. 사람을 만나고 그를 맘에 들이고 맘에 들었던 이를 기억하는 행위가 빈집에 앉아 그 집에서 살았던 이를 그리워하며 보이지 않는 것을 만지작 거리는 것이다. 그 따스함이라니 .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이름은 빨강 1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동양적인 것으로 파고드는 서양적인 것의 침략?

  이슬람적인 것의 정점에서 피는 세밀화, 다초점적이고 리얼리즘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림의 의미에 더 큰 의미를 두는 세밀화에 대한 이야기.

 동양적이라지만 서쪽에 가장 치우친 동양이라는 점에서 유목민적이고 피가 남발하는 세계는 동북아가 가지고 있는 여백과 선의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다는 면에서

 전적으로 여백을 허락하지 않고 빽빽히 채우는 서양적 사유의 면면을 닮았다.

 술탄에 대한 별다른 자의식이 없다는 데서 가부장적이고 권력 지향적 서술을 별로 버리지 않았다는 것과

 대상화된 여자의 모습에서

 남자보다 하등하게 취급되는 이슬람적 특성을 무기력하게 학습하는 듯해서

 읽는 내내 불편했다.

 여자에 대한 욕정을 누르기 위해 미소년을 사랑하는 성인 남자들의 이야기는

 금기에 대한 성마른 파괴에서 오는 불편함도 감수해야 한다.

 서양은 이슬람 세계를 압도해 들어오는 어떤 것으로 작용하지만 사실 서양 세계를 깊이 파괴해 들어간 것은 오스만투르크의 무력적 팽창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피로 이루어진 그들의 세계가 서양의 세계와 달라보이지 않는다

 세밀화에 대한 다각적 서술에 초점이 맞지 않는 데다가

 상상에서 오는 이상적 아름다움 따위와는 처음부터 거리를 두는 까닭에

 파묵이 선취한 이슬람적인 것의 미개성이나

 폭력적 위대성 따위에

 관심을 둘 수 없다

 이슬람 세계가 과연 그런가

 종교가 결합되는 세밀화에 대한 어떤 느낌은 가질 수 있었지만

 그것을 그리는 사람들의 욕망이 앞서고,

 그들의 다른 의견이 가르는 것들은 다분히 이분법적이다

 동양과 서양이라는

 이슬람세계와 기독교라는

 세밀화의 다초점과 서양화의 원근법과 사실적 묘사라는 대립점은

 소설을 다소 촌스럽게 한다.

 거기다가 이 세계가 정말 이슬람의 세계인지는 모르겠다

 오로지 작가의 선굵은 상상의 세계이자

 욕망의 세계라는 섣부른 단정을 내릴 뿐

 

 노벨문학상? 모르겠다

 

 거대한 것과 다양한 것들을 좁은 화폭에 다 담으려는 작가의 욕심에 휘둘려 보는 것은 그리 즐겁지만은 않아서 재빨리 읽어버렸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