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이 이야기는 극한의 상황에 빠져있는 불볕의 도시 화양에서의 28일간 펼쳐지는 다섯 명과 한 마리의 개 이야기입니다. 아니, 실제로 등장하는 인물과 개들은 많습니다. 시점의 이동이겠지요.
아이디타로드, 세계 최대의 개 썰매 경주 당시 화이트아웃에 갇혀버린 데다가 늑대떼에게 죽임을 당할 운명에 처한 재형은 줄을 자름으로써 - 그러니까, 자신의 개들을 늑대에게 내줌으로써 살아납니다. 그것은 얍삽한 행동이 아니라, 살아야겠다는 본능의 몸부림이었을 뿐, 그러나, 자신을 구조하러 온 스승의 개 마야의 눈빛에서 죄책감을 느끼고, 그 죄책감에 11년간 시달려왔습니다.
"대장, 내 아이들을 어쨌어?"
그리고 , 화양.
소방대원 기준, 공익요원 동해, 신문기자 윤주, 간호사 수진, 수의사 재형, 그리고 외로운 늑대의 후손 링고.
화양에서는 원인불명의 인수공통전염병이 돕니다. 다른 동물은 괜찮지만, 사람과 개에서 동시 발생합니다. 원인은 모릅니다. 잠복기 1~2일. 발병 후 사망까지 1~2일. 치사율 100%. 국가에서는 백신을 개발하는지, 감염되지 않은 사람은 왜 감염이 되지 않는지.. 그런 것에 대한 움직임은 이 책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다만, 화양은 폐쇄되고, 계엄령이 내려지고... 모든 통신, 언론에 대한 통제와 규제가 일어납니다.
연가시에서 봤던 것보다 더 긴박합니다. 사람들의 슬픔뿐만 아니라 링고를 통한 개들의 슬픔까지 전해집니다.
영화나 책을 보다 보면, 이 사람만은 무사하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 같은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는 그런 것이 없었습니다.
누구도 운명을 피할 수 없었고, 총알이 퍼부어도 주인공은 피해 가는.. 그런 영화 같은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그렇기에 더욱 리얼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심지어 그것은 개에게서까지 느껴졌는데, 이 아이는 주인공의 개니까.. 주인공과 함께 살아가겠지.. 라는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졌습니다.
살아있던 인간들. 그 사람이 주연이든, 조연이든 방금까지도 생생하게 움직이고 있었던 사람이 금새, 그러니까 순식간에 죽은자가 되고, 그리고 그와는 상관없이 이야기는 다시 흘러가버렸습니다. 너무나 순간적이라 건조하기까지 한 절망. 그러나, 죽은 자는 죽은 자요. 살 사람은 살아야 하지 않느냐는 그런 생각을 할 시간 조차 주지 않고 이야기는 흘러가버립니다.
우리에게 무슨 일이 닥치건간에 시간은 우리를 놔두고 흘러가버리듯이 말입니다.
살인, 강간, 폭동, 강도, 방화.
세상은 산 지옥 그 자체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안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습니다. 등장인물이..? 아니 우리 스스로가 말입니다.
이 책의 마지막에선 울어버렸습니다.
감동, 전율, 슬픔.. 그런 느낌의 폭발이 아닌. 어떤 새로운 느낌이 덮쳐왔기 때문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