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각의 지배 - 인간은 두뇌로 음식을 먹는다
존 앨런 지음, 윤태경 옮김 / 미디어윌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되도록이면 간식은 하지 않는다.. 라는 주의지만 (물만 먹어도 살찌는 체질이라.. 으앙) 가끔씩은 바삭바삭한 것이나 아삭아삭한 것이 먹고 싶어 견딜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주로 아삭아삭쪽보다는 바삭바삭쪽이 더 땡기는데요... 왜 그런걸까요? 이건 분명.. 저만 그런것이 아닐텐데요.
상상해보세요~ 이렇게 더운 여름날. 바삭바삭한 외피로 둘러 싸여있는 촉촉한 치킨, 그리고 목넘김이 좋은 시원한 맥주. 아니면 한껏 부풀어 올라있는 , 게다가 동글동글한 아이들을 매달고 있는 연근튀김. 아니면 오징어 튀김. 그것도 싫다면, 더위를 날려줄 오이스틱. 아삭~!
그런데, 이런 것들이 우리만 땡기는 것이 아니에요... 전세계인들이 모두 열광하죠. 영화관에서 빼놓으면 섭섭한 바삭한 팝콘부터, 감자칩... 아우.. 먹고싶어요. (위험한데...?)
이런 바삭바삭은 선사시대때부터 우리를 유혹해왔대요. 바삭바삭한 식감의 곤충. 훌륭한 단백질 급원이었겠죠. 그리고 바삭한 아니 우리 표현으로는 아삭한.. 신선한 느낌의 식물성 식품. 그리고, 물컹한 생고기가 아닌 불에 구워 겉면이 훌륭하게 바삭해 진 고기. 우우.. 이런 모든 것들이 선사시대때부터 우리를 유혹해 왔어요.

이 책 <미각의 지배>는 다소 어려워요.
쉬운 내용은 아니에요. 분명 눈으로는 읽고 있는데 뇌가 거부해요.
어쩌면, '나(뇌)'에대해 너무 많은 걸 알려하지 말라는 경고일지도 모르겠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어떻게든 끝까지 읽었지요. 역시. 어렵더군요.
무척 흥미로운 내용이 한가득.
그치만 제 뇌 용량이 따라가기엔 좀 버거웠어요

인간은 먹이를 먹지 않고, 음식을 먹지요.
음식이라는 것은 먹는 자의 생활, 습관, 전통, 그리고 생각, 취향까지 반영하며, 그리고 추억까지 - 좋은 추억이거나 역겨운 추억이거나 상관없이 - 포함하고 있는것 같아요.
이 책에선 인류진화, 뇌 과학, 생물학, 유전학, 심리학까지 총 망라해서 인간들의 미각, 그리고 식생활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어요. 이렇게 음식에 대한 심오한 책은 드물지 않을까 생각이 될 정도로요.
이제까지 '먹는'행위에 대해서는 영양학적이라거나, 조리학적인 접근, 혹은 역사적인 접근이 주가 되었었다면, 이 책은 정말 독특하다고 하지 않을 수가 없네요.
한 번 읽어보아선 잘 모를 책.
하지만 읽어볼 필요는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
